조용수 민족일보 사장 42돌 추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3-12-27 00:00 조회1,50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회창씨의 대국민사과가 진실이라면 무엇보다도 그는 법살당한 조용수 민족일보 사장 묘소 앞에 무릎 꿇고 참회해야 한다."
민족일보사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자동)가 20일 낮 12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남한산성묘소에서 주최한 "민족일보 조용수사장 서거 42주기 추<
모식"에서 김병태(전 민족일보 논설위원) 교수는 추도사를 통해 "역적도당과 함께 군사재판에서 사형언도를 한 이회창은 추호도 반성 없이 기고만장하여 대통령후보로 나섰다가 역사의 심판을 받아 낙마하고 그때 긁어모은 "차떼기" 불법자금이 발각돼 지금 감옥행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김 교수는 추모식에서 "이 땅의 분단 극복을 위해 남과 북이 자주적으로, 평화적으로, 민주적으로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고 역설했고, 이를 위해 언론에 그 보루를 구축하려다가 겨레의 역적 박정희 도당의 군화발 아래 설흔한살의 나이로 형장의 이슬로 먼저 가신 조용수 열사가 살아서 변혁의 일꾼들과 6.15 남북공동선언 실현에 같이 어울리고 있었어야 할 것을 생각하면 북바쳐오르는 분통을 가눌 길 없다"며 "겨레의 역적이 열사를 법살했다는 사실이 점점 더 널리 알려지면서 그 억울한 원혼을 달래기 위해서, 아니 통일애국열사 조용수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재심 청구의 움직임이 무르익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사장은 민족일보 창간에 불온한 자금이 들어왔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언도받았는데, 그 당시에 자금을 댔다고 하는 이영근씨는 전두환시절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며 "이것만으로도 재심을 받아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밝혔다.
김자동 진상규명위 위원장은 여는말에서 "조용수사장 서거 42주기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모여 그를 추모하며 재심청구의 뜻을 모으게 된 것은 우리 사회 민주화가 상당히 진척된 것을 보여준다"며 "군사쿠데타에 의해 법살된 <민족일보> 사건의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진력해온 동지들이 노력해 재심청구로 무죄판결을 받아내자"고 말했다.
조용수 사장 등 진보적 언론인들이 1961년 2월13일 창간한 민족일보는 무엇보다도 민족문제를 중시했으며 특히 평화의 정착과 협상을 통한 통일을 역설했다. 이 신문은 독자들의 광범한 호응을 받았으나, 창간된 지 100호도 못돼 같은해 6월10일 군사쿠데타정권에 의해 강제 폐간당했다.
김병태 전 민족일보 논설위원이 추모사를 낭독하고 있다.
1930년 4월20일 경남 진양군에서 태어난 조사장은 1961년 5월18일 민족일보 사건과 관련해 구속되었으며, 같은해 8월28일 국가보안법 위반 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그해 12월2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교수형으로 31세의 일기를 마쳤다. 국제언론계는 그의 처형을 애도하며 1962년 아바나에서 그에게 세계언론인상을 수여했다.
이날 추모식은 항일선열과 통일열사에 대한 묵념, 고인 약력 보고, 추모사, 헌주, 헌화분향 순으로 진행됐으며, 조용준씨 등 유가족과 전무배 전 민족일보 정치부 기자, 정해숙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 상임공동대표, 강신옥 변호사, 전창일 주종환 민화련 대표, 김병곤 선생, 김제영 선생, 재일동포 배경융씨 등 지인 50여명이 참석했다.박득진기자

추도식에 참석한 배경융(왼쪽에서 세번째)씨 등 재일동포 3인과 김자동(왼쪽 첫번째) 위원장.

헌화하는 참가자들
[출처:인터넷 참말로 12/20/2003]
민족일보사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자동)가 20일 낮 12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남한산성묘소에서 주최한 "민족일보 조용수사장 서거 42주기 추<
김 교수는 추모식에서 "이 땅의 분단 극복을 위해 남과 북이 자주적으로, 평화적으로, 민주적으로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고 역설했고, 이를 위해 언론에 그 보루를 구축하려다가 겨레의 역적 박정희 도당의 군화발 아래 설흔한살의 나이로 형장의 이슬로 먼저 가신 조용수 열사가 살아서 변혁의 일꾼들과 6.15 남북공동선언 실현에 같이 어울리고 있었어야 할 것을 생각하면 북바쳐오르는 분통을 가눌 길 없다"며 "겨레의 역적이 열사를 법살했다는 사실이 점점 더 널리 알려지면서 그 억울한 원혼을 달래기 위해서, 아니 통일애국열사 조용수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재심 청구의 움직임이 무르익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자동 진상규명위 위원장은 여는말에서 "조용수사장 서거 42주기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모여 그를 추모하며 재심청구의 뜻을 모으게 된 것은 우리 사회 민주화가 상당히 진척된 것을 보여준다"며 "군사쿠데타에 의해 법살된 <민족일보> 사건의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진력해온 동지들이 노력해 재심청구로 무죄판결을 받아내자"고 말했다.
조용수 사장 등 진보적 언론인들이 1961년 2월13일 창간한 민족일보는 무엇보다도 민족문제를 중시했으며 특히 평화의 정착과 협상을 통한 통일을 역설했다. 이 신문은 독자들의 광범한 호응을 받았으나, 창간된 지 100호도 못돼 같은해 6월10일 군사쿠데타정권에 의해 강제 폐간당했다.
1930년 4월20일 경남 진양군에서 태어난 조사장은 1961년 5월18일 민족일보 사건과 관련해 구속되었으며, 같은해 8월28일 국가보안법 위반 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그해 12월2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교수형으로 31세의 일기를 마쳤다. 국제언론계는 그의 처형을 애도하며 1962년 아바나에서 그에게 세계언론인상을 수여했다.
이날 추모식은 항일선열과 통일열사에 대한 묵념, 고인 약력 보고, 추모사, 헌주, 헌화분향 순으로 진행됐으며, 조용준씨 등 유가족과 전무배 전 민족일보 정치부 기자, 정해숙 한겨레신문전국독자주주모임 상임공동대표, 강신옥 변호사, 전창일 주종환 민화련 대표, 김병곤 선생, 김제영 선생, 재일동포 배경융씨 등 지인 50여명이 참석했다.박득진기자
추도식에 참석한 배경융(왼쪽에서 세번째)씨 등 재일동포 3인과 김자동(왼쪽 첫번째) 위원장.
헌화하는 참가자들
[출처:인터넷 참말로 12/20/20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