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 color=green>거북선 첫 원화 미국서 발견</font>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4-08-22 00:00 조회1,60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360년전 거북선 첫 원화”
존재 사실만 알려졌을 뿐 실체는 전해지지 않아 베일에 가려 있는 거북선의 원형을 보고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가 뉴욕 한인에 의해 발굴, 16일 공개됐다.
▲ 거북선의 원형을 보고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 이 고서화는 가로 1.4m, 세로 2.39m의 대형 비단천에 거북선 등이 정박해 있는 군항을 실경으로 묘사해 놓았다.
거북선의 모습은 역사서 가운데 이충무공전서(1795년 출간)에만 대략적인 스케치로 그려져 있고 몇몇 민화 형태로 전해오긴 했지만 사실적으로 묘사한 고서화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고서화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극소수 학설로 알려진 3층으로 거북선을 그려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가로 1.4m, 세로 2.39m 크기로 2장의 대형 비단천에 그려진 그림은 거북선 4척과 판옥선 1척, 소형선 7척 등과 장수들이 작전회의를 하는 모습, 병사들이 무기를 점검하는 모습, 평상복 차림의 민간인들이 보급물자를 나르는 모습 등이 회화적 수법으로 세밀하게 처리돼 있다.
또 거북선이 3층 구조로 묘사돼 있는 것을 비롯 윗등이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띠고 있는 것과 윗 등에 걸어다닐 수 있는 길이 그려져 있는 등 거북선 외관 모양을 놓고 벌여왔던 학자들의 엇갈린 주장을 처음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이 고서화는 롱아일랜드 소재 서진무역 윤원영 사장이 메릴랜드에 거주하는 미국인 소장가 엘리자벳 마우리 여사로부터 지난해 1월 구입, 조지아주 아틀란타에 보관해 오다 16일 뉴욕 한국일보에 공개했다.
평양숭실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한 데이빗 마우리 선교사의 손주 며느리인 마우리 여사에 따르면 이 그림은 1867년(메이지 유신시대) 일본 니이가타현 인근 나가오카 성벽을 허물 때 처음 발견된 것으로 지난 1970년 일본골동품반출협회의 허가를 받아 미국에 반입됐다.
재미한국고미술연구가인 최영래씨는 “최근 조지아대학(University Of Georgia)에 의뢰해 질량가속편광분석(AMS) 방식의 방사선 탄소연대 측정 결과, 그려진 연대가 1950년을 기준해 250±60년으로 최대 1640년대까지 추정됐다. 이 고서화는 임진왜란(1592∼1595년) 후 거북선 기지창을 직접 보고 그린 실경화로 보인다”며 “이번 거북선 고서화 공개로 지금까지 논쟁이 되고 있는 거북선에 대한 연구와 복원 작업에 획기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수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했다.
채색은 그림을 처음 그릴 당시 사용했던 석채(광물성 물감)가 용머리, 방패, 깃발 등 일부분에 남아 있으며 나머지는 일본에 건너간 뒤 색깔이 바래지자 나중에 입힌 것으로 추정되는 수채물감으로 덧칠해져 있는 부분과 덧칠이 안돼 먹물 선만 남아 있는 부분으로 구분돼 있다.
[출처:미주한국일보 뉴욕지사-김노열 기자 8/17/2004]
존재 사실만 알려졌을 뿐 실체는 전해지지 않아 베일에 가려 있는 거북선의 원형을 보고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가 뉴욕 한인에 의해 발굴, 16일 공개됐다.

거북선의 모습은 역사서 가운데 이충무공전서(1795년 출간)에만 대략적인 스케치로 그려져 있고 몇몇 민화 형태로 전해오긴 했지만 사실적으로 묘사한 고서화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고서화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극소수 학설로 알려진 3층으로 거북선을 그려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가로 1.4m, 세로 2.39m 크기로 2장의 대형 비단천에 그려진 그림은 거북선 4척과 판옥선 1척, 소형선 7척 등과 장수들이 작전회의를 하는 모습, 병사들이 무기를 점검하는 모습, 평상복 차림의 민간인들이 보급물자를 나르는 모습 등이 회화적 수법으로 세밀하게 처리돼 있다.
또 거북선이 3층 구조로 묘사돼 있는 것을 비롯 윗등이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띠고 있는 것과 윗 등에 걸어다닐 수 있는 길이 그려져 있는 등 거북선 외관 모양을 놓고 벌여왔던 학자들의 엇갈린 주장을 처음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다는 점에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이 고서화는 롱아일랜드 소재 서진무역 윤원영 사장이 메릴랜드에 거주하는 미국인 소장가 엘리자벳 마우리 여사로부터 지난해 1월 구입, 조지아주 아틀란타에 보관해 오다 16일 뉴욕 한국일보에 공개했다.
평양숭실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한 데이빗 마우리 선교사의 손주 며느리인 마우리 여사에 따르면 이 그림은 1867년(메이지 유신시대) 일본 니이가타현 인근 나가오카 성벽을 허물 때 처음 발견된 것으로 지난 1970년 일본골동품반출협회의 허가를 받아 미국에 반입됐다.
재미한국고미술연구가인 최영래씨는 “최근 조지아대학(University Of Georgia)에 의뢰해 질량가속편광분석(AMS) 방식의 방사선 탄소연대 측정 결과, 그려진 연대가 1950년을 기준해 250±60년으로 최대 1640년대까지 추정됐다. 이 고서화는 임진왜란(1592∼1595년) 후 거북선 기지창을 직접 보고 그린 실경화로 보인다”며 “이번 거북선 고서화 공개로 지금까지 논쟁이 되고 있는 거북선에 대한 연구와 복원 작업에 획기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수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했다.
채색은 그림을 처음 그릴 당시 사용했던 석채(광물성 물감)가 용머리, 방패, 깃발 등 일부분에 남아 있으며 나머지는 일본에 건너간 뒤 색깔이 바래지자 나중에 입힌 것으로 추정되는 수채물감으로 덧칠해져 있는 부분과 덧칠이 안돼 먹물 선만 남아 있는 부분으로 구분돼 있다.
[출처:미주한국일보 뉴욕지사-김노열 기자 8/17/20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