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여만명 애도속에 치리진 교황 장례식 > 기타

본문 바로가기
영문뉴스 보기
2025년 10월 7일
남북공동선언 관철하여 조국통일 이룩하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기타

400여만명 애도속에 치리진 교황 장례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05-04-08 14:43 조회1,678회 댓글0건

본문

지난 2일 선종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장례식이 8일 오전 10시(한국시각 오후 5시) 로마 시내 바티칸 교황청의 성베드로 대성당 앞에서 엄숙하게 치러졌다.

이날 장례식에는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등 세계 각국의 최고지도자 80여명을 포함한 주요 인사 2500여명이 참석했으며, 그의 고국 폴란드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몰려든 신도 400여만명이 그의 마지막 길을 지켜봤다. 한국에서는 이해찬 총리, 김수환 추기경 등이 참석했다.

2시간여 동안 진행된 교황의 장례 미사는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단 의장이 집전했으며, 장례식 뒤 교황의 주검은 대성당 지하 묘지로 옮겨져 안장됐다.

이탈리아 정부는 이날 장례식에 참가한 주요 인사들의 안전을 위해 로마 중심부 영공을 폐쇄했으며, 1만명 이상의 병력을 투입하고 대공미사일과 순찰정 등도 배치했다.

◇장례식 엄수=이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장례식은 장례 미사에 앞서 고위 성직자들만 참석하는 성베드로 대성당에서의 비공개 의식으로 시작됐다. 사제들은 교황의 관 속에 은·동 메달이 담긴 주머니와 그의 생애 업적을 적은 두루마리를 넣었다. 그리고 오랫동안 교황의 개인 비서를 해온 스타니스와프 지비시 대주교와 전례 담당 피에로 마리니 대주교가 교황의 얼굴에 흰 비단 베일을 덮고 관뚜껑을 닫았다.

장례미사가 끝난 뒤 고위성직자들이 관을 메고 성 베드로 대성당의 계단을 내려가 바티칸의 지하 석굴로 향했다. 관은 교황과 교황청의 봉인이 찍힌 붉은 띠로 둘러져 영원히 닫혀진 뒤 아연으로 만들어진 두번째 관과 호두나무로 만들어진 세번째 관에 차례로 넣어졌다. 이 마지막 관에는 교황의 이름이 새겨졌다.

◇조문단 자리배치 고민=교황청은 고민 끝에 장례식에 참석한 세계 각국 지도자 200여명의 자리를 프랑스어의 알파벳 순서로 배치했다. 프랑스어는 교황청이 오랫동안 외교 언어로 써온 말이다.

미 <시엔엔방송>은 이에 따라 미국과 불편한 관계에 있는 시리아, 이란 등이 미국 조문단과 멀리 떨어지게 돼 어색함을 면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신 모하메드 하타미 이란 대통령은 모셰 카차브 이스라엘 대통령과 나란히 앉게 됐다.

또 이날 장례식에는 짐바브웨의 독재자 로버트 무가베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무가베는 “인권을 유린하고 사상, 결사, 평화적 시위의 자유를 제한했다”는 이유로 유럽연합으로부터 입국이 금지된 상태로, 정상적으로는 이탈리아에 입국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천수이볜 대만 총통이 장례에 참석하면서 중국은 항의 표시로 조문단을 보내지 않았다.

◇가톨릭 비밀단체 주목=차기 교황 선출과 관련해 가톨릭 비밀단체 ‘오푸스 데이’(Opus Dei)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단체의 이름은 라틴어로 ‘신의 사역’이란 뜻을 갖고 있다. 차기 교황을 선출할 추기경단에서는 교황청 수석 대변인인 호아킨 나비로 발스 추기경을 비롯해 최소 2명이 오푸스 데이 회원이며, 전세계 정ㆍ재계 유력인사들을 포함한 8만명이 이 단체의 회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유선택을 위한 천주교도’라는 모임의 프랜시스 키슬링은 “오푸스데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밑에서 전례없는 권력을 누렸으며 다음 교황 아래서도 그런 권력을 잃으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기 교황 선출을 앞두고 있는 추기경단 내에서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오푸스 데이 등 보수 단체의 입김을 강화하면서 모든 권력을 자신에게 집중시킨 반면, 주교들의 역할을 축소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편, 한 인터넷 웹사이트는 요한 바오로 2세가 소련과 동유럽의 스탈린주의 국가들이 붕괴하는 데 기여를 했으나 남미에서는 군사 독재정권의 편을 들고 핍박받는 민중을 외면했다고 밝혔다. 이 웹사이트는 현 교황청 2인자인 안젤로 소다노 추기경이 칠레 대사 시절 “걸작도 사소한 결함이 있게 마련”이라며 독재자 피노체트를 칭송했던 사례 등을 꼽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부고]노길남 박사
노길남 박사 추모관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우리민족끼리
자주시보
사람일보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한겨레
경향신문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오마이뉴스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통일부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