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고구려의 언어연구》 집필 완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05-06-29 14:19 조회1,80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도서 《고구려의 언어연구》에 대한 집필이 김일성종합대학 문학대학 김영황교수(조선과학원 후보원사, 언어학박사)에 의해 완성되였다.
도서《고구려의 언어연구》는 4장 12절로 되여있다.
1장은 고구려의 리두식표기에 대한 분석, 2장은 고구려의 초기 리두에 대한 분석, 3장은 고구려의 언어적특징, 4장은 언어사적견지에서 본 고구려의 정통성으로 되였다.
김영황교수는 자기의 도서 머리글에 《…력사적사실은 고구려사람들이 백제, 신라사람들과 함께 하나의 민족을 이루는 지역별주민들이였으며 고구려의 문화는 그 어떤 이질적인것이 아니라 공통된 우리 민족문화 가운데서 앞서 발전한 문화였고 고구려의 말도 우리 민족의 언어사에서 기본줄기를 이루는 우리 말이였음을 말해주고있다. 현시기 고구려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옳바른 인식을 가지지 못하고 력사를 외곡하면서 우리 민족사의 정통성을 확립하는데 부정적작용을 노는 주장들이 나돌고있는 조건에서 언어사적견지에서 고구려의 언어문제를 론하는것은 적지 않은 의의를 가진다》 라고 지적하면서 고구려의 언어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강조하였다.
관계자는 이 도서가 출판되면 북과 남은 물론 해외동포들속에서 인기가 있을것이라고 본다고 말하였다.
도서《고구려의 언어연구》는 4장 12절로 되여있다.
1장은 고구려의 리두식표기에 대한 분석, 2장은 고구려의 초기 리두에 대한 분석, 3장은 고구려의 언어적특징, 4장은 언어사적견지에서 본 고구려의 정통성으로 되였다.
김영황교수는 자기의 도서 머리글에 《…력사적사실은 고구려사람들이 백제, 신라사람들과 함께 하나의 민족을 이루는 지역별주민들이였으며 고구려의 문화는 그 어떤 이질적인것이 아니라 공통된 우리 민족문화 가운데서 앞서 발전한 문화였고 고구려의 말도 우리 민족의 언어사에서 기본줄기를 이루는 우리 말이였음을 말해주고있다. 현시기 고구려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옳바른 인식을 가지지 못하고 력사를 외곡하면서 우리 민족사의 정통성을 확립하는데 부정적작용을 노는 주장들이 나돌고있는 조건에서 언어사적견지에서 고구려의 언어문제를 론하는것은 적지 않은 의의를 가진다》 라고 지적하면서 고구려의 언어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강조하였다.
관계자는 이 도서가 출판되면 북과 남은 물론 해외동포들속에서 인기가 있을것이라고 본다고 말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