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탄압 역사적 규명 이뤄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06-08-04 02:59 조회2,54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과거 독재 정권이 자행한 언론 탄압에 대한 진실이 언론계 안팎의 노력으로 속속들이 드러날 전망이다.
지난달 25일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송기인)’는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에 대해 6월말부터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진실위원회는 올 4월 민족일보 조용수 사건을 우선 조사 대상으로 선정해 언론 과거사 청산을 위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기자협회(회장 정일용)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해방이후 언론탄압에 대한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 및 배상에 관한 특별법’ (이하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기자협회 회원 1천5백50명이 동참, 언론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자협회는 지난 6월 출범한 언론탄압진상규명협의회(상임대표 정동익. 이하 협의회)와 함께 지난 5월11일부터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제정을 위한 서명 운동에 들어갔다.
기자협회는 1일 오전 현재까지 기자협회 70개 지회에서 총 1천4백72명의 기자와 78명의 언론종사자가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서명운동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과거 반민주독재 투쟁의 선봉에 섰던 기자협회가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서명운동에 돌입한 취지는 원로 선배에 대한 당연한 도리이자 기자협회의 선명한 역사적 전통과, 촌지거부, 접대골프 근절 등의 언론자정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최근의 활동에 비추어 볼 때도 시대적 당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자협회는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서명운동을 2천명까지 확대해 기자협회 창립일인 17일, 법을 발의한 열린우리당 김재홍 의원에게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과거 ‘동아투위’로 시작된 자유 언론의 싹이 1980년 광주항쟁 당시 제작 거부로 연결됐고,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진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선배 언론인들에 대한 탄압을 밝혀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발의한 지 2년이 다 되도록 정식 안건으로조차 상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협의회는 지난 6월 구성 이후 줄곧 법 제정을 요구했다.
협의회 정동익 상임대표는 “과거사를 정리하자며 강조해온 언론계에서 그 동안 자기들의 잘못된 과거사에 대한 진상을 밝히는 노력에는 너무나 부족했다”며 “뒤늦게라도 많은 언론인들이 서명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이번 서명운동을 계기로 향후 9월 정기국회에서 법이 제정되도록 모두 합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언론탄압진상규명협의회는 기자협회를 비롯한 언론개혁시민연대, 동아·조선투위,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조 등 13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지난 2004년 11월 1일 김재홍, 박홍수, 김원웅 등 17명의 여야의원 발의(대표발의 김재홍 의원)로 문광위에 제출된 상태다.
[ 이대혁 기자 / daebal94@journalist.or.kr ]
지난달 25일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송기인)’는 동아일보 광고탄압사건에 대해 6월말부터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진실위원회는 올 4월 민족일보 조용수 사건을 우선 조사 대상으로 선정해 언론 과거사 청산을 위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기자협회(회장 정일용)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해방이후 언론탄압에 대한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 및 배상에 관한 특별법’ (이하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기자협회 회원 1천5백50명이 동참, 언론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자협회는 지난 6월 출범한 언론탄압진상규명협의회(상임대표 정동익. 이하 협의회)와 함께 지난 5월11일부터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제정을 위한 서명 운동에 들어갔다.
기자협회는 1일 오전 현재까지 기자협회 70개 지회에서 총 1천4백72명의 기자와 78명의 언론종사자가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서명운동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과거 반민주독재 투쟁의 선봉에 섰던 기자협회가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서명운동에 돌입한 취지는 원로 선배에 대한 당연한 도리이자 기자협회의 선명한 역사적 전통과, 촌지거부, 접대골프 근절 등의 언론자정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최근의 활동에 비추어 볼 때도 시대적 당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자협회는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서명운동을 2천명까지 확대해 기자협회 창립일인 17일, 법을 발의한 열린우리당 김재홍 의원에게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과거 ‘동아투위’로 시작된 자유 언론의 싹이 1980년 광주항쟁 당시 제작 거부로 연결됐고,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진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선배 언론인들에 대한 탄압을 밝혀야 한다는 역사적 소명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발의한 지 2년이 다 되도록 정식 안건으로조차 상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협의회는 지난 6월 구성 이후 줄곧 법 제정을 요구했다.
협의회 정동익 상임대표는 “과거사를 정리하자며 강조해온 언론계에서 그 동안 자기들의 잘못된 과거사에 대한 진상을 밝히는 노력에는 너무나 부족했다”며 “뒤늦게라도 많은 언론인들이 서명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이번 서명운동을 계기로 향후 9월 정기국회에서 법이 제정되도록 모두 합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언론탄압진상규명협의회는 기자협회를 비롯한 언론개혁시민연대, 동아·조선투위,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조 등 13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언론탄압진상규명특별법’은 지난 2004년 11월 1일 김재홍, 박홍수, 김원웅 등 17명의 여야의원 발의(대표발의 김재홍 의원)로 문광위에 제출된 상태다.
[ 이대혁 기자 / daebal94@journalist.or.kr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