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단체, 지문날인 반대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1-10-23 00:00 조회1,49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문날인 거부자, "78+"에서 "1912+"로
5개단체 연대기구 결성, 지문날인 반대운동 벌이기로
지난해 "반짝" 하고 끝나는 듯하던 지문날인 거부자들의 모임이 최근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이는 "지문날인 거부 홈페이지"(fprint.jinbo.net)에 가
입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
이 홈페이지는 지난해 5월 30일 지문날인 거부자 78명이 "지문날인 제도에
끝까지 불복종하겠다"며 결성한 "지문날인 거부 78+" 모임에 의해 제작됐다.
그 날은 구 주민등록증의 효력이 상실되기 바로 전날. 당시 거부자들은 "비
록 지금은 78명에 불과하지만 계속해서 참여의 폭을 넓히겠다"는 의지를 불
태우며, 모임의 이름을 "78+"로 정했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은 지난해 여름부
터 사실상 중단됐고, 이에 지문날인 거부 홈페이지도 이름만 남겨둔 채 운
영을 중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78+" 모임의 참가자였던 윤현식 씨가 지난 8월 우연히 이 홈페
이지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다. 애초 78명이었던 지문날인 거부자의 숫자가
어느덧 1천7백 명을 훨씬 넘어섰던 것. 이에 윤 씨는 홈페이지를 호스팅했
던 진보넷에 문의했고, "지문날인 거부자가 이 홈페이지에 가입하면 "+" 앞의
숫자가 자동적으로 올라간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때 윤 씨는 "(홈페이지) 관리를 하지 않았음에도 회원이 자발적으로 늘어
났다는 것은 지문날인 제도가 잘못됐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아
직도 많다는 증거"라고 생각하고 "반면 기존 (지문날인 거부운동을) 주도했
던 사람들이 (이 운동을) 너무 방치했던 것 아니냐"며 자성했다고 한다.
지문날인 거부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꾀 존재한다는 사실에 고
무되어, 지난달에는 지문날인반대연대가 결성됐다. 여기에는 "지문날인 거부
1912+"(17일 현재) 외에 그 동안 지문날인 제도에 문제를 느껴왔던 △서울대
디지털 지문날인 거부자 모임 △다음 까페 "존재미증명자들의 은신처" △주
민등록법개정을 위한 행동연대 △서울영상집단이 참여했다.
현재 윤 씨는 개인적으로 "주민등록번호 조합방식에 관한 정보"의 비공개 결
정에 대해, 서울영상집단은 "경찰청이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의 부분공개
결정에 대해 각각 행정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지문날인반대연대는 앞으로
주민등록카드 미발급으로 인한 피해상황을 조사하고, 경찰청을 대상으로 열
손가락의 지문이 날인된 "주민등록증발급 신청서"의 폐기 또는 반환을 청구
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99년 9월에는 "지문날인 제도와 지문전산화 폐지"를
요청하는 헌법소원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오는 27일 오후 4시 정동아트선제센터에서는 서울영상집단 이마리오
감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주민등록증을 찢어라" 시사회가 열린다. "주민등
록증을 찢어라"는 지문날인 거부자였던 이 감독이 경찰서에서 십지지문을
찍을 수 밖에 없었던 자신의 경험을 직접 영상으로 옮긴 작품. 이 감독은
"사람들이 "지문날인과 주민등록증이라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
다"고 소감을 밝혔다.
지문날인반대연대는 27일 시사회 후 2차 정기모임을 가진다. 이후 전국적으
로 "주민등록증을 찢어라"를 순회상영하며, 이를 계기로 지역별로 지문날인
거부자들의 모임을 만들고 이들을 네트워크로 묶을 계획이다. [범용]
5개단체 연대기구 결성, 지문날인 반대운동 벌이기로
지난해 "반짝" 하고 끝나는 듯하던 지문날인 거부자들의 모임이 최근 다시
활기를 찾기 시작했다. 이는 "지문날인 거부 홈페이지"(fprint.jinbo.net)에 가
입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
이 홈페이지는 지난해 5월 30일 지문날인 거부자 78명이 "지문날인 제도에
끝까지 불복종하겠다"며 결성한 "지문날인 거부 78+" 모임에 의해 제작됐다.
그 날은 구 주민등록증의 효력이 상실되기 바로 전날. 당시 거부자들은 "비
록 지금은 78명에 불과하지만 계속해서 참여의 폭을 넓히겠다"는 의지를 불
태우며, 모임의 이름을 "78+"로 정했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은 지난해 여름부
터 사실상 중단됐고, 이에 지문날인 거부 홈페이지도 이름만 남겨둔 채 운
영을 중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78+" 모임의 참가자였던 윤현식 씨가 지난 8월 우연히 이 홈페
이지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다. 애초 78명이었던 지문날인 거부자의 숫자가
어느덧 1천7백 명을 훨씬 넘어섰던 것. 이에 윤 씨는 홈페이지를 호스팅했
던 진보넷에 문의했고, "지문날인 거부자가 이 홈페이지에 가입하면 "+" 앞의
숫자가 자동적으로 올라간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때 윤 씨는 "(홈페이지) 관리를 하지 않았음에도 회원이 자발적으로 늘어
났다는 것은 지문날인 제도가 잘못됐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아
직도 많다는 증거"라고 생각하고 "반면 기존 (지문날인 거부운동을) 주도했
던 사람들이 (이 운동을) 너무 방치했던 것 아니냐"며 자성했다고 한다.
지문날인 거부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꾀 존재한다는 사실에 고
무되어, 지난달에는 지문날인반대연대가 결성됐다. 여기에는 "지문날인 거부
1912+"(17일 현재) 외에 그 동안 지문날인 제도에 문제를 느껴왔던 △서울대
디지털 지문날인 거부자 모임 △다음 까페 "존재미증명자들의 은신처" △주
민등록법개정을 위한 행동연대 △서울영상집단이 참여했다.
현재 윤 씨는 개인적으로 "주민등록번호 조합방식에 관한 정보"의 비공개 결
정에 대해, 서울영상집단은 "경찰청이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의 부분공개
결정에 대해 각각 행정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지문날인반대연대는 앞으로
주민등록카드 미발급으로 인한 피해상황을 조사하고, 경찰청을 대상으로 열
손가락의 지문이 날인된 "주민등록증발급 신청서"의 폐기 또는 반환을 청구
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99년 9월에는 "지문날인 제도와 지문전산화 폐지"를
요청하는 헌법소원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오는 27일 오후 4시 정동아트선제센터에서는 서울영상집단 이마리오
감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주민등록증을 찢어라" 시사회가 열린다. "주민등
록증을 찢어라"는 지문날인 거부자였던 이 감독이 경찰서에서 십지지문을
찍을 수 밖에 없었던 자신의 경험을 직접 영상으로 옮긴 작품. 이 감독은
"사람들이 "지문날인과 주민등록증이라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
다"고 소감을 밝혔다.
지문날인반대연대는 27일 시사회 후 2차 정기모임을 가진다. 이후 전국적으
로 "주민등록증을 찢어라"를 순회상영하며, 이를 계기로 지역별로 지문날인
거부자들의 모임을 만들고 이들을 네트워크로 묶을 계획이다. [범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