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전민특위, 학살지 보존투쟁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2-03-28 00:00 조회1,49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는 미군양민학살 현장중 하나가 한 교회의 건축부지로 사용하려는 사태를 막고 이 학살지를 보존하기 위한 투쟁을 전개해 왔다. 이 투쟁과 관련한 현장소식 자료를 소개한다.[민족통신 편집실]
......................................................................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 관련한 진행상황 보고
지난 2001년 10월 동구청이 산내 학살지에 교회건축허가를 내줌으로써 가건물로 된 교회가
학살현장에 근 2주여 기간안에 완공 직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유족
분들을 비롯한 산내학살 대책회의 구성원들 그리고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가 [산내 학살지
보존]을 위한 [교회건축중단] 그리고 훼손된 [유골수습] 등을 주장하며 혹한에도 불구하고
각계단체의 지지와 연대 속에 힘있는 투쟁을 전개했습니다.
현재는 교회측에서 동구청을 상대로 부당한 건축중단 및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행정소송을
건 상태이며 동구청측에서는 반인륜적, 몰역사적 행정에 대한 내외 비판의 여론을 의식한
탓인지 저희 유족회 및 전민특위가 제시한 교회건축과 관련한 대체부지확보로 해결대안을
세워가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인 대체부지확보에 대한 예산심의 및 확보방안과 관련하여 공동의 노력을 하
기로 했으며, 해당 관계자 및 의원들을 만나나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노근리를 비롯한 한국전쟁 전후 양민학살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들이 높아져 있는
가운데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문제는 유족들에게는 피학살자들을 두 번죽이는 것이나 다름없
는 반인륜적 행정조치였으며, 묻혀진 역사를 규명해 내야 하는 후대로써의 시대적 소명으로
보면 몰역사적이며 비상식적인 행정조치였습니다. 이에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는 각계 각
층의 한국전쟁 전후 미군학살 진상규명 및 사죄보상에 대한 의지를 모아 동구청측에 대중집
회 및 한달간의 1인시위 등을 통해 학살현장을 보존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청와대 및
행정자치위원회 소속의원들을 비롯한 관계부처에는 청원서 및 탄원투쟁으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동구청측이 대체부지 확보를 통해 산내 학살 현장 보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
던 데에는 시민들의 여론을 의식한 탓이며 그동안 산내학살 현장보존을 위해 함께 투쟁했던
많은 단체들의 연대와 지지의 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승리하는 투쟁을 만들기 위
해 혹한에도 불구하며 헌신적으로 함께 투쟁한 충청총련 동지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
다.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다 해결이 된 것은 아닙니다. 실제 대체부지 확보와 관련한 예산
해결이 가장 큰 걸림돌이며, 예산확보를 위해 대전시나 정부측에 예산확보 촉구에 대한 여
러 가지의 연대투쟁들이 전개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는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문제가 대체부지 확보를 통해 행
정기관과 함께 학살현장이 보존될 수 있도록 끝까지 투쟁할 것이며 더 나아가 산내학살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을 시민들 속에서 더욱 확산해 내고 그 진상규명 및 사죄배상에 대한
투쟁을 함께 진행할 것입니다.
끝.
우리민족끼리 단합과 통일을 촉진하는 해 3월 18일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 본부장 안은찬
......................................................................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 관련한 진행상황 보고
지난 2001년 10월 동구청이 산내 학살지에 교회건축허가를 내줌으로써 가건물로 된 교회가
학살현장에 근 2주여 기간안에 완공 직전까지 공사가 진행되었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유족
분들을 비롯한 산내학살 대책회의 구성원들 그리고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가 [산내 학살지
보존]을 위한 [교회건축중단] 그리고 훼손된 [유골수습] 등을 주장하며 혹한에도 불구하고
각계단체의 지지와 연대 속에 힘있는 투쟁을 전개했습니다.
현재는 교회측에서 동구청을 상대로 부당한 건축중단 및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행정소송을
건 상태이며 동구청측에서는 반인륜적, 몰역사적 행정에 대한 내외 비판의 여론을 의식한
탓인지 저희 유족회 및 전민특위가 제시한 교회건축과 관련한 대체부지확보로 해결대안을
세워가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인 대체부지확보에 대한 예산심의 및 확보방안과 관련하여 공동의 노력을 하
기로 했으며, 해당 관계자 및 의원들을 만나나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노근리를 비롯한 한국전쟁 전후 양민학살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들이 높아져 있는
가운데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문제는 유족들에게는 피학살자들을 두 번죽이는 것이나 다름없
는 반인륜적 행정조치였으며, 묻혀진 역사를 규명해 내야 하는 후대로써의 시대적 소명으로
보면 몰역사적이며 비상식적인 행정조치였습니다. 이에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는 각계 각
층의 한국전쟁 전후 미군학살 진상규명 및 사죄보상에 대한 의지를 모아 동구청측에 대중집
회 및 한달간의 1인시위 등을 통해 학살현장을 보존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청와대 및
행정자치위원회 소속의원들을 비롯한 관계부처에는 청원서 및 탄원투쟁으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동구청측이 대체부지 확보를 통해 산내 학살 현장 보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
던 데에는 시민들의 여론을 의식한 탓이며 그동안 산내학살 현장보존을 위해 함께 투쟁했던
많은 단체들의 연대와 지지의 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승리하는 투쟁을 만들기 위
해 혹한에도 불구하며 헌신적으로 함께 투쟁한 충청총련 동지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
다.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다 해결이 된 것은 아닙니다. 실제 대체부지 확보와 관련한 예산
해결이 가장 큰 걸림돌이며, 예산확보를 위해 대전시나 정부측에 예산확보 촉구에 대한 여
러 가지의 연대투쟁들이 전개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는 산내 학살지 교회건축문제가 대체부지 확보를 통해 행
정기관과 함께 학살현장이 보존될 수 있도록 끝까지 투쟁할 것이며 더 나아가 산내학살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을 시민들 속에서 더욱 확산해 내고 그 진상규명 및 사죄배상에 대한
투쟁을 함께 진행할 것입니다.
끝.
우리민족끼리 단합과 통일을 촉진하는 해 3월 18일
전민특위 대전충남본부 본부장 안은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