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첫 송사법규집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2-07-03 00:00 조회1,45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조선의 첫 송사법규집-<청송제강>
(평양 6월 21일발 조선중앙통신)조선의 민족고전문헌 <청송제강>은 나라의 첫 송사법규집이다.
<청송제강>에는 사건고발과 송사심리,금지사항,재산상속,제사방법과 같은 27개의 항목과 수많은 조문들이 수록되여 있다.
나라에서 처음으로 법이 나온것은 고조선시기인데 그 법은 <범금8조>였다.
그후 <경국대전>(1485년)에 <대전속록>,<대전후속록> 등이 련이어 편찬되였다.
16세기 중엽에는 순전히 송사와 관련한 문제만을 골라 <청송제강>이란 법규집을 편찬하였다.
이 송사법규집은 당대 사회계급관계와 풍속자료들이 섬세하게 기록되여 있는것으로 하여 민족사연구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리용되고 있다.(끝)
(평양 6월 21일발 조선중앙통신)조선의 민족고전문헌 <청송제강>은 나라의 첫 송사법규집이다.
<청송제강>에는 사건고발과 송사심리,금지사항,재산상속,제사방법과 같은 27개의 항목과 수많은 조문들이 수록되여 있다.
나라에서 처음으로 법이 나온것은 고조선시기인데 그 법은 <범금8조>였다.
그후 <경국대전>(1485년)에 <대전속록>,<대전후속록> 등이 련이어 편찬되였다.
16세기 중엽에는 순전히 송사와 관련한 문제만을 골라 <청송제강>이란 법규집을 편찬하였다.
이 송사법규집은 당대 사회계급관계와 풍속자료들이 섬세하게 기록되여 있는것으로 하여 민족사연구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리용되고 있다.(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