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민중항쟁 32돌 기념행사 베를린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럽동포 작성일12-05-29 11:05 조회1,70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5월 민중제 32돌 행사가 25일 부터 27일까지 베를린에서 열렸다.
해마다 1980년 광주항쟁을 기념하여 이곳 도이취란트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이종현 선생의 개회사로 시작 되었으며 조국의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하여 독재권력과 싸우다 돌아가신 영령들과 지난 5월18일 갑자기 서거하신 유럽의 통일운동가 고 신옥자 선생을 위한 추모제를 먼저 드렸다.
주제 강연 1.이주민들의 노후의 삶" 에서 이윤덕 원불교 레겐스부르크 교무는 노선(老善) 노학(老學) 노동(老動)으로 살아가기를 권하였다.
선한 마음으로 나와 사회의 책임을 지는 생활과, 학처럼 세상을 넉넉한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배우고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과 같이 노동을 하며 사는 것이야 말로 잘 사는 일이라 하였다.
주제 2. "웃으면서 끝까지 함께"는 한진중공업 정리해고노동자들의 복직을 위하여 309일동안 이나 35m 고공 85호 크레인에서 투쟁하였던 하였던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독일 금속노조와 코리아협의회 초청으로 이번 5월민중제 행사에도 참석하여 자신의 고공 클레인 투쟁을 생생하게 들려주었다.
잠을 잘 수 있는 공간도, 세수를 할 수 있는 물도, 먹을 것도 제대로 없는 공간, 그것도 경철과 구사대의 강체철거 위협을 100m가 넘는 크레인 정상에 올라가 투신하겠다고 맞서면서 거의 1년 4계절을 초인적인 의지로 부당해고된 동료들을 복직시킬것을 요구하는 그의 외침이 드디어 희망버스를 타고 김진숙을 격려 지원하기 위해 부산으로 달려온 수만영은 김진숙 지지 외침으로 번져갔고 그리고 이 소식은 온 세계로 펴져나갔다.
독일과, 핀란드, 미국등 수많은 외국인들이 부산을 방문하여 믿기 어려웠던 이 사건을 직접 목격하고 확인하게 되자, 한진중공업과 이명박 정부는 더 이상 공권력으로 해결할 수 없을을 깨닫고 김진숙씨의 요구에 굴복하고 말았다.
김진숙씨의 강철같은 의지는 거대 재벌 한진중공업과 부당한 국가공권력에 목숨 걸고 맞서 노동자의 승리를 쟁취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쌍용자동차 복직투쟁은 22명의 생명을 았아가고도 끝나지 않았다며 23명째의 희생자가 나 올 수 있는 상황이나 국내언론과 정치권은 외면하고 있으니 해외에서 함께 연대 해달라고 호소하였다.
발제강연 3. "총선 이후 국내상황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
이은희 월간신문 -풍경- 대표는 해외동포의 투표와 개표과정의 문제점과 투표함관리의 허술함을 지적하면서 현재와 같이 각지역 공관에 가서 투표하는 것은 공관과 수백킬로메터 떨어진 곳에 사는 동포들의 참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연을 한 이희세(전 6.15 유럽지역 상임대표)선생은 일본이 항복한 1948년 8월15일 중앙청에 일장기 대신태극기가 걸렸으나 미국 8군사령관 멕아더의 명령으로 3일만에 일장기가 다시 올라갔던 일을 상기하면서 이때부터 미국은 한국을 명령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국사람의 정신은 사라져가고 문화 언어마져 거의 영어도 한국어도 아닌 기형언어가 생겨남을 지적하면서 자신이 사는 프랑스에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방송이나 공공기관에서 영어를 사용하면 벌금을 물었다.
젊을 세대들이 우리의 고유문화를 지키며 남북으로 갈라진 분단을 극복하는데 관심으로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행사는 평가회와 결의문을 채택하고 폐회하였다.
결 의 문
오월민중항쟁 32년이 지났건만 조국의 민주주의는 발전하기는 커녕 퇴행일로에 서 있다.
숭고한 광주 영령, 민주 열사들의 혼과, 후손들의 희망이 숨쉬어야 할 국토는 몇 줌 자본가들의 욕망에 파헤쳐지고 있으며, 시민들의 행복과 정의는 위정자들의 부정부패로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족 통일의 염원은 현 이명박 정권에 들어 갈등과 반목으로 상처받고 있으니, 독재자 박정희의 망령에 사로잡힌 우리 조국 한반도를 어찌하란 말인가.
그러나 전태일 열사와 오월영령들이 뿌린 희망의 씨앗은 새로운 생명으로 그 높은 가지를 뻗어올렸으니, 고공 크레인에 올라 바람에 흔들리고 폭압에 시달렸어도 우리에게 미래를 보여 준 김진숙 동지!
조국이여 민중이여 우리는 다 시 한번 희망을 이야기한다.
이제 우리는 웃으며 끝까지 함께 투쟁하는 미래를 보리라. 간고한 투쟁에도 희망을 잃지 않으리라. 더불어 함께 가는 희망의 조국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의를 한다.
1. 쌍용자동차 해고자를 즉각 복직하고 노동법을 즉시 개정하여 정리해고 제도를 철폐하라.
1. 사대강을 복원하고 강정 해군기지 건설을 중단하라
1. 독재자 박정희 동상을 가지고 동포사회를 이간질하지 말라
1. 부정부패자를 색출하여 엄중히 처단하라
1.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이행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하라
2012년 5월 27일
오월민중항쟁 32돌 기념 재유럽오월민중제 참가자 일동
해마다 1980년 광주항쟁을 기념하여 이곳 도이취란트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이종현 선생의 개회사로 시작 되었으며 조국의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하여 독재권력과 싸우다 돌아가신 영령들과 지난 5월18일 갑자기 서거하신 유럽의 통일운동가 고 신옥자 선생을 위한 추모제를 먼저 드렸다.
주제 강연 1.이주민들의 노후의 삶" 에서 이윤덕 원불교 레겐스부르크 교무는 노선(老善) 노학(老學) 노동(老動)으로 살아가기를 권하였다.
선한 마음으로 나와 사회의 책임을 지는 생활과, 학처럼 세상을 넉넉한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배우고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과 같이 노동을 하며 사는 것이야 말로 잘 사는 일이라 하였다.
주제 2. "웃으면서 끝까지 함께"는 한진중공업 정리해고노동자들의 복직을 위하여 309일동안 이나 35m 고공 85호 크레인에서 투쟁하였던 하였던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독일 금속노조와 코리아협의회 초청으로 이번 5월민중제 행사에도 참석하여 자신의 고공 클레인 투쟁을 생생하게 들려주었다.
잠을 잘 수 있는 공간도, 세수를 할 수 있는 물도, 먹을 것도 제대로 없는 공간, 그것도 경철과 구사대의 강체철거 위협을 100m가 넘는 크레인 정상에 올라가 투신하겠다고 맞서면서 거의 1년 4계절을 초인적인 의지로 부당해고된 동료들을 복직시킬것을 요구하는 그의 외침이 드디어 희망버스를 타고 김진숙을 격려 지원하기 위해 부산으로 달려온 수만영은 김진숙 지지 외침으로 번져갔고 그리고 이 소식은 온 세계로 펴져나갔다.
독일과, 핀란드, 미국등 수많은 외국인들이 부산을 방문하여 믿기 어려웠던 이 사건을 직접 목격하고 확인하게 되자, 한진중공업과 이명박 정부는 더 이상 공권력으로 해결할 수 없을을 깨닫고 김진숙씨의 요구에 굴복하고 말았다.
김진숙씨의 강철같은 의지는 거대 재벌 한진중공업과 부당한 국가공권력에 목숨 걸고 맞서 노동자의 승리를 쟁취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쌍용자동차 복직투쟁은 22명의 생명을 았아가고도 끝나지 않았다며 23명째의 희생자가 나 올 수 있는 상황이나 국내언론과 정치권은 외면하고 있으니 해외에서 함께 연대 해달라고 호소하였다.
발제강연 3. "총선 이후 국내상황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
이은희 월간신문 -풍경- 대표는 해외동포의 투표와 개표과정의 문제점과 투표함관리의 허술함을 지적하면서 현재와 같이 각지역 공관에 가서 투표하는 것은 공관과 수백킬로메터 떨어진 곳에 사는 동포들의 참여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연을 한 이희세(전 6.15 유럽지역 상임대표)선생은 일본이 항복한 1948년 8월15일 중앙청에 일장기 대신태극기가 걸렸으나 미국 8군사령관 멕아더의 명령으로 3일만에 일장기가 다시 올라갔던 일을 상기하면서 이때부터 미국은 한국을 명령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국사람의 정신은 사라져가고 문화 언어마져 거의 영어도 한국어도 아닌 기형언어가 생겨남을 지적하면서 자신이 사는 프랑스에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방송이나 공공기관에서 영어를 사용하면 벌금을 물었다.
젊을 세대들이 우리의 고유문화를 지키며 남북으로 갈라진 분단을 극복하는데 관심으로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행사는 평가회와 결의문을 채택하고 폐회하였다.
결 의 문
오월민중항쟁 32년이 지났건만 조국의 민주주의는 발전하기는 커녕 퇴행일로에 서 있다.
숭고한 광주 영령, 민주 열사들의 혼과, 후손들의 희망이 숨쉬어야 할 국토는 몇 줌 자본가들의 욕망에 파헤쳐지고 있으며, 시민들의 행복과 정의는 위정자들의 부정부패로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족 통일의 염원은 현 이명박 정권에 들어 갈등과 반목으로 상처받고 있으니, 독재자 박정희의 망령에 사로잡힌 우리 조국 한반도를 어찌하란 말인가.
그러나 전태일 열사와 오월영령들이 뿌린 희망의 씨앗은 새로운 생명으로 그 높은 가지를 뻗어올렸으니, 고공 크레인에 올라 바람에 흔들리고 폭압에 시달렸어도 우리에게 미래를 보여 준 김진숙 동지!
조국이여 민중이여 우리는 다 시 한번 희망을 이야기한다.
이제 우리는 웃으며 끝까지 함께 투쟁하는 미래를 보리라. 간고한 투쟁에도 희망을 잃지 않으리라. 더불어 함께 가는 희망의 조국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의를 한다.
1. 쌍용자동차 해고자를 즉각 복직하고 노동법을 즉시 개정하여 정리해고 제도를 철폐하라.
1. 사대강을 복원하고 강정 해군기지 건설을 중단하라
1. 독재자 박정희 동상을 가지고 동포사회를 이간질하지 말라
1. 부정부패자를 색출하여 엄중히 처단하라
1.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이행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하라
2012년 5월 27일
오월민중항쟁 32돌 기념 재유럽오월민중제 참가자 일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