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영예의 <김일성상>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학원생 작성일2014-05-15 12:28 조회2,962회 댓글4건관련링크
본문
<<김일성상>>이란~(북한 사전에 나온 내용을 간추려 소개)
북한 최고의 상. 김일성 60회생일을 앞두고 1972년 3월 30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제정됐다. 이 상은 과학, 문화, 예술, 보건, 체육, 출판보도 등 각 분야에서 공로를 세운 사람 및 작품들에 수여된다. 특히 작품으로는 △김일성과 관련한 기념비적 창조물 △김일성의 사상의 발전·선전에 기여한 문학예술작품 또는 출판물 △경제, 군사분야 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을 촉진시키는 과학기술서적, 설계도 등이 주 선정기준이다. 김일성상은 김일성상금메달과 부상이 함께 수여된다. 김일성상을 수여받은 사람을 「김일성상계관인」이라 칭하며 김일성상이 수여된 작품을 「김일성상계관작품」이라고 한다. 이 상은 제정한 그해 4월 35명의 첫수상자를 낸 이후 김일성 생일을 즈음해 수여된다. 대표적인 수상자로는 장편소설 「석개울의 새봄」 「대하는 흐른다」 등을 지은 북한의 대표적 문인인 천세봉을 비롯해 국가체육위원회 부국장 한필화, 보천보전자악단 작곡가 리종오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의 노래」 등이 있다
댓글목록
유럽동포님의 댓글
유럽동포 작성일그럼 <김정일상>이란 무엇인가요?
디지털백과님의 댓글
디지털백과 작성일
민족통신 노길남 대표가 해외동포 출판보도 부분에서 수여받은 '김일성상' 수상자로는 최초로 알려져 있다.
지금부터는 노길남 김일성상계관인이란 호칭이 붙게 되는 것으로 그의 위상은 북한에서는 대단한 위치로서
대우받게 될것이다.
참고로 지금까지 알려진 김일성상 수상자들은 다음의 명단에서 밝혀지고 있다.
수상자/단체 목록 ¶
2회 수상
김정일 (1973, 2012)
1회 수상
CNC 공구자동흐름선(컨베이어 벨트) (2011. 평안북도 운산공구공장과 련하기계관리국 공동 개발)
경희극 '산울림' (2010)
계순희 (연도 불명. 유도 선수)
곽대홍 (1972. 공학자. 전 김책공업대학 금속공학부 강좌장 겸 교수)
관현악과 합창 '눈이 내린다' (2009)
권정웅 (1988. 소설가)
김경종 (1987. 화학자)
김련학 (1978. 영화촬영가)
김병화 (2005. 지휘자. 전 조선국립교향악단 수석 지휘자)
김보행 (1989. 소설가)
김석래 (1982. 언론인)
김세륜 (1988. 시나리오 작가)
김승희 (1999. 화가. 만수대창작사 소속)
김시권 (1988. 시인)
김영신 (연도 불명. 작곡가. 전 문화예술부 부부장)
김영희 (1982. 가극 연출가)
김우경 (1999. 아동문학가)
김원균 (1972. 작곡가. 김일성장군의 노래와 애국가 등을 작곡한 작곡가)
김제선 (연도 불명. 작곡가, 왕재산경음악단 단장)
김진수 (1992. 평양산원 원장)
김진영 (1982. 지휘자. 전 만수대예술단 소속)
김흥기 (2011. 배우. 국립연극단 예술부단장)
대계도간석지 설계도 (2010)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2002)
동태관 (2001. 언론인. 로동신문 실장)
렴철 (1987. 화학자. 국가과학원 교수)
리덕윤 (1998. 시나리오 작가)
리동춘 (1972. 극작가)
리면상 (1985. 작곡가. 친일파 출신)
리상욱 (1998. 시나리오 작가)
리신웅 (2013)
리의정 (2013)
리정술 (1982. 시인/작사가)
리정언 (1998. 작곡가. 전 만수대예술단 소속)
리종순 (1975. 극작가 겸 시나리오 작가)
리종오 (1991. 작곡가. 전 보천보전자악단 소속, 현 조선인민군 공군사령부 전자악단장. 휘파람과 김정은 찬양곡인 발걸음 등 작곡)
리진수 (2002. 지휘자. 피바다가극단 소속)
리춘구 (1982. 시나리오 작가)
리춘히 (2012. 방송인. 조선중앙텔레비전 소속)
리학범 (1982. 작곡가. 전 만수대예술단 단장)
명준섭 (1996. 아동문학가)
문기창 (2013)
박미성 (1989. 시인/작사가)
백영철 (1998. 전기공학자. 김책공업종합대학 박사원 지도교원)
백인준 (1972. 소설가 겸 정치인. 전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변희근 (1989. 소설가)
서남준 (2011. 시인.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소속)
석윤기 (1975. 소설가)
설명순 (1987. 작곡가. 전 조선인민군협주단 단장)
성동춘 (연도 불명. 작곡가. 전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송광림 (1995. 작곡가. 만수대예술단 소속)
송미란 (2011. 언론인. 로동신문 논설가)
신운호 (1980. 소설가/시인. 조선인민군협주단 소속, 김정일장군의 노래 작사가)
신종립 (1992. 기계공학자. 김책공업종합대학 박사원 지도교원)
엄하진 (연도 불명. 작곡가. 전 조선인민군협주단 예술부단장, 현 김원균평양음악대학 학장. 합창조곡 '선군장정의 길'과 '백두산아 이야기하라'등 작곡)
연극 '오늘을 추억하리' (2011)
예술공연 '내 나라의 푸른 하늘' (2006)
오영재 (1989. 시인)
오향문 (1992. 영화배우)
윤복진 (1998. 아동문학가)
임사준 (1991. 도예가)
장은산 (2006. 집단체조 창작가. 집단체조창작단 소속)
장조일 (2011. 작곡가. 은하수관현악단 단장)
전동우 (1986. 시인)
정문향 (1989. 시인)
정영만 (1989. 화가. 만수대창작사 소속)
정창모 (2005. 화가. 만수대창작사 소속)
조근원 (1972. 언론인)
조령출 (1982. 작가. 친일파 출신)
채명석 (2012. 피바다가극단 연출가)
총서 '불멸의 향도' (2012)
최숙명 (2013)
최재선 (연도 불명. 작곡가. 만수대예술단과 왕재산경음악단 소속)
한덕수 (연도 불명. 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의장)
한필화 (1972.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홍성철 (1989. 화가)
황건 (1988. 소설가)
황진영 (1992. 작곡가. 보천보전자악단 소속)
회상실기집 '인민들속에서' (2007)
회상실기집 '주체시대를 빛내이시며' (2012)
희천수력발전소 설계 (2012)
조현화님의 댓글
조현화 작성일
《국제김일성상》제정은 1993년 4월
주체102(2013)년 4월 13일 《우리 민족끼리》
정치상식
《국제김일성상》
주체82(1993)년 4월 위대한 김일성동지의 탄생 81돐에 즈음하여 인디아 뉴델리에서 세계의 정계, 사회계, 학계의 저명한 인사들로 《국제김일성상》리사회를 결성하고 《국제김일성상》제정에 대한 결정과 수여에 관한 규정을 채택하였다.
《국제김일성상》리사회 결정
《국제김일성상》을 제정함에 대하여
위대한 김일성동지는 조선인민의 위대한 수령이실뿐아니라 제국주의를 반대하고 인류의 자주위업을 실현하기 위한 투쟁의 앞길을 밝혀주신 탁월한 령도자이시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일찌기 위대한 주체사상을 창시하시고 자주시대를 개척하신 인류해방의 구성이시며 인민대중중심의 사회주의사회를 건설하시고 그 모범으로 세계인민들에게 밝은 앞길을 밝혀주신 혁명과 건설의 탁월한 영재이시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자주, 평화, 친선의 리념에 기초하여 자주성을 지향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진보적인민들과의 친선단결을 강화함으로써 인류공동의 반제자주위업수행에 불멸의 공헌을 하시였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는 제국주의를 반대하고 세계의 자주화와 평화를 위하여 한평생을 바치시며 쌓아올리신 불멸의 업적과 공헌으로 하여 세계인민들속에서 높은 존경과 신뢰를 받고 계신다.
《국제김일성상》리사회는 온 세계의 평화와 자주위업수행에 불멸의 공헌을 하신 위대한 김일성동지의 업적을 길이 빛내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1. 《국제김일성상》을 제정한다.
2. 《국제김일성상》수여에 관한 규정을 승인한다.
《국제김일성상》리사회
1993년 4월 13일
-《국제김일성상》수여에 관한 규정
《국제김일성상》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창시하신 주체사상을 신봉하고 그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극 투쟁하며 온 세계의 자주화와 평화를 실현하는데 특출한 기여를 한 정계, 사회계의 저명한 활동가들과 주체사상신봉자들에게 수여한다.
《국제김일성상》은 《국제김일성상》리사회의 결정으로 수여한다.
《국제김일성상》을 수여받는 인사들에게는 《국제김일성상》상장과 《국제김일성상》금메달 및 기념품(귀금속제)을 수여한다.
《국제 김일성상》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탄생일인 4월 15일을 계기로 매해 1명씩 수여한다.
되돌이
멋진인생님의 댓글
멋진인생 작성일노길남선생님~!!!! 정말 멋지신분이세요~!!!! 여기 남녘땅에도 못오시고 미국땅에서 사셔야하니 정말 가슴아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멋진특파원으로 사셨으면 좋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