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 박근혜정권 비판-웬일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욕동포 작성일2015-06-17 05:36 조회1,735회 댓글3건관련링크
본문
뉴욕타임스가 작년 4월에 이어 이번 두번째로 비판기사?
하긴 수구꼴통 친미사대 인물 김창준(전 미연방하원의원 서울가서 활동중)이도
까는 세상인데...참 나라같지도 않은 한국이라면 지나친 비난일까? 좌우당간 뉴욕타임스가 깐 기사부터 소개...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박근혜 대통령을 역대 지도자 중 가장 폐쇄적이며 국민을 회피하는 대통령으로 낙인하며 비난했다.
뉴욕 타임스는 지난 12일 작년 4월 세월호 참사 대응으로 비난을 받은 후 일 년이 지난 지금 메르스의 전국 확산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국가적 위기대응 능력 미흡으로 박근혜의 지도자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다며, 비평가들의 의견을 인용하여 심층 분석했다.
이 신문은 그녀에 대한 지지도가 곤두박질치고, 침체되는 경제, 개정을 앞둔 국민연금제도, 그리고 조선으로부터 핵과 미사일 위협 같은 긴급 사안들에 나라가 직면한 상황에서, 비평가들과 정치분석가들도 똑같이 그녀의 지도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녀는 지금 같은 때에 국민에게 시기적절한 메시지를 전하기에는 너무나 느리고 폐쇄적이며, 그녀는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차단되어 있고, 국민을 회피하는 대통령으로 드러났다”는 대통령리더쉽연구소 최진 소장의 말을 덧 붙였다.
기사는 또한 심지어 박 대통령을 지지하던 한국의 강력한 보수 언론 매체조차 메르스 발생 와중에 그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며, ‘자신에 대한 여론을 반전시키는 데만 행동을 취하고, 메르스 발발 후 2주가 지나서야 각료회의를 소집한 것, 5개의 중복되는 메르스 대책위원회들이 갑자기 생겨 난 것은 효율적인 지도력 체제가 없음을 보여준다’는 비평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뉴욕 타임스는 새로운 메르스 확진자가 나왔을 때, 정부는 개별 감염의 몇 가지 세부적인 사항과 확진자 수를 신속히 알렸으나, 감염 환자가 있는 병원 이름, 질병 확산의 경로, 혹은 전염의 연쇄를 막기 위해 정부가 하고 있는 일의 세부사항 공개를 거부였다며, 이러한 정보 부족은 “국민에게 공포와 불안감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메르스 자문 연구위원인 피터 벤 엠바렉 씨의 발언을 전했다.
또한 박근혜 정부는 대국민 정보공개 대신 소셜 미디어상에서 메르스 병원의 이름을 유포시킨 8명을 체포하였다고 전하고, 메르스 감염을 막기 위해 국민에게 낙타와의 접촉을 피하라는 보건복지부의 권고는 마치 한국에서 유니콘을 피하라고 요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비평가의 트윗을 소개하였다.
기사는 냉담한 박대통령의 이미지는 언론매체를 상대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강화되어왔다며,
작년에 단 한 번, 올해 역시 지금까지 단 한 번의 기자회견을 했다며 소통 부재를 지적했다.
박근혜는 또한 고위관료들에게 고압적이고 반대의견을 참지 못한다는 비난도 역시 받아왔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자세는 국민과 가까운 대통령이 아니라 군주의 이미지이며 대통령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박근혜 대통령이 인지는 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비평가의 말을 인용했다.
뉴욕타임스는 박대통령의 성장배경을 언급하며 박 대통령의 사고방식은 철권 독재통치를 했던 박정희 시대에 갇혀있으며 권위주의적이고 폐쇄된 리더쉽은 현 시점과는 동떨어진 구시대적이라는 최진 소장의 말을 인용하며 마무리 했다.
하긴 수구꼴통 친미사대 인물 김창준(전 미연방하원의원 서울가서 활동중)이도
까는 세상인데...참 나라같지도 않은 한국이라면 지나친 비난일까? 좌우당간 뉴욕타임스가 깐 기사부터 소개...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박근혜 대통령을 역대 지도자 중 가장 폐쇄적이며 국민을 회피하는 대통령으로 낙인하며 비난했다.
뉴욕 타임스는 지난 12일 작년 4월 세월호 참사 대응으로 비난을 받은 후 일 년이 지난 지금 메르스의 전국 확산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국가적 위기대응 능력 미흡으로 박근혜의 지도자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다며, 비평가들의 의견을 인용하여 심층 분석했다.
이 신문은 그녀에 대한 지지도가 곤두박질치고, 침체되는 경제, 개정을 앞둔 국민연금제도, 그리고 조선으로부터 핵과 미사일 위협 같은 긴급 사안들에 나라가 직면한 상황에서, 비평가들과 정치분석가들도 똑같이 그녀의 지도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녀는 지금 같은 때에 국민에게 시기적절한 메시지를 전하기에는 너무나 느리고 폐쇄적이며, 그녀는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차단되어 있고, 국민을 회피하는 대통령으로 드러났다”는 대통령리더쉽연구소 최진 소장의 말을 덧 붙였다.
기사는 또한 심지어 박 대통령을 지지하던 한국의 강력한 보수 언론 매체조차 메르스 발생 와중에 그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며, ‘자신에 대한 여론을 반전시키는 데만 행동을 취하고, 메르스 발발 후 2주가 지나서야 각료회의를 소집한 것, 5개의 중복되는 메르스 대책위원회들이 갑자기 생겨 난 것은 효율적인 지도력 체제가 없음을 보여준다’는 비평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뉴욕 타임스는 새로운 메르스 확진자가 나왔을 때, 정부는 개별 감염의 몇 가지 세부적인 사항과 확진자 수를 신속히 알렸으나, 감염 환자가 있는 병원 이름, 질병 확산의 경로, 혹은 전염의 연쇄를 막기 위해 정부가 하고 있는 일의 세부사항 공개를 거부였다며, 이러한 정보 부족은 “국민에게 공포와 불안감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메르스 자문 연구위원인 피터 벤 엠바렉 씨의 발언을 전했다.
또한 박근혜 정부는 대국민 정보공개 대신 소셜 미디어상에서 메르스 병원의 이름을 유포시킨 8명을 체포하였다고 전하고, 메르스 감염을 막기 위해 국민에게 낙타와의 접촉을 피하라는 보건복지부의 권고는 마치 한국에서 유니콘을 피하라고 요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비평가의 트윗을 소개하였다.
기사는 냉담한 박대통령의 이미지는 언론매체를 상대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강화되어왔다며,
작년에 단 한 번, 올해 역시 지금까지 단 한 번의 기자회견을 했다며 소통 부재를 지적했다.
박근혜는 또한 고위관료들에게 고압적이고 반대의견을 참지 못한다는 비난도 역시 받아왔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자세는 국민과 가까운 대통령이 아니라 군주의 이미지이며 대통령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박근혜 대통령이 인지는 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비평가의 말을 인용했다.
뉴욕타임스는 박대통령의 성장배경을 언급하며 박 대통령의 사고방식은 철권 독재통치를 했던 박정희 시대에 갇혀있으며 권위주의적이고 폐쇄된 리더쉽은 현 시점과는 동떨어진 구시대적이라는 최진 소장의 말을 인용하며 마무리 했다.
댓글목록
멋진인생님의 댓글
멋진인생 작성일지애비 박통도 저렇게까지 심하게 폐쇄적이지는 않았는데 이년처럼 폐쇄적인 대통령은 대한미국 남녘 헌법역사상 일찍이 없었다~!!!! 이런대통령 당장 퇴진해야 내가산다~!!!! 그리고 닭그네년을 두둔하는 극우보수종편통로와 극우보수언론들 그리고 극우보수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종편출연 탈북자놈년들은 내가 당장 응징하고야말거다~!!!!
멋진인생님의 댓글
멋진인생 작성일오죽했으면 보수층어르신들까지도 닭그네를 존경하지않는다고 말을 해댔는감?
멋진인생님의 댓글
멋진인생 작성일나는 이런 상업주의에 물들여 여자들에게 까지 범죄자로 몰게한 대한미국 남녘이 진짜로 싫어~!!!! 차라리 조선중앙텔레비죤 방송원인 문진혁과 김윤심이 있고 수도 평양시라도 많은사람들이 웃고 떠들며 사람냄새가 풍기는 북녘에 가서 살고싶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