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시·군 합동분향소 설치 말라” … 안행부 공문에 ‘공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4-04-28 12:13 조회3,52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단독] “시·군 합동분향소 설치 말라” … 안행부 공문에 ‘공분’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납득할 수 없는 조치’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기초 자치단체 간부 ㄱ씨는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겨 애도하고 있는 분위기인데 안행부에서 왜 이렇게 소극적으로 대응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방선거를 앞 둔 상황에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조치”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 ㄴ씨는 “전화를 걸면 ‘안전한 사회, 유능한 정부, 성숙한 자치’라고 안내까지 하는 안행부가 국민정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정말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행부의 지침이 내려오기 전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조문을 받고 있는 일부 기초자치단체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조문객을 계속 받겠다”는 입장이다.
안행부 지방행정실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아직까지 실종자의 생환을 기다리는 가족들의 심정도 생각해야 하고, 합동분향소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 일단 광역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토록 했다”며 “교통이 발달돼 있는 점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주민들이 강력히 요구하면 기초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것을 제지할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분향소를 운영하는 안산시도 불만을 드러냈다. 안산시 관계자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뒤 안산시와 경기도가 안전행정부에 특별교부세 120억8800여만원을 요청했으나 내려온 돈은 20억원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추가지원 여부를 추후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일단 예비비 10억원을 포함해 자체 예산 12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들도 안행부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마을마다 사람들이 모여 슬퍼하고 고통을 나누려 하는데, 이 자리가 정부에 대한 불만의 자리가 될까 두려워 미리 그런 자리를 없애고 있다”면서 “군사독재 정권의 여론탄압이 다시 부활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돈을 아껴야 할 곳과 아끼지 말아야 할 곳을 모르는 정말 한심한 정부다. 우리는 한심한 정부의 대통령을 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한편 27일 오후 10시까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올림픽기념관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임시분향소’엔 빗속에도 불구 16만여명의 조문객이 찾아 고인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제단 앞에서 헌화를 하며 넋을 기렸다.
· 시·도 역시 1개소만 자체예산으로 설치 공문에 지자체 ‘황당’
안전행정부가 전국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면서 시·군·구 기초자치단체는 제외한 사실이 27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공문을 통해 밝혀졌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26일 오후 9시10분 전국 광역자치단체에 보낸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지역 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을 통해 전국 17개 시·도청 소재지 별로 각 1개의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도록 주문했다. 28일 오전 9시에 분향소를 열어 안산지역의 합동영결식 당일까지 운영토록 했다. 설치장소는 시·도 청사를 원칙으로 하고, 제단 규모는 장소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판단토록 했다.
하지만 2가지 주문이 지자체를 황당하게 하고 있다. 안행부는 이같은 내용을 통보하면서 합동분향소 설치 소요경비는 자치단체의 예비비로 충당토록 했다. 중앙정부가 예산 지원이 없으니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알아서 분향소를 운영하라고 것이다.
이 뿐만 아니다. 안행부는 합동분향소 설치 대상지역에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는 제외토록 명시했다.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납득할 수 없는 조치’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기초 자치단체 간부 ㄱ씨는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겨 애도하고 있는 분위기인데 안행부에서 왜 이렇게 소극적으로 대응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방선거를 앞 둔 상황에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조치”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 ㄴ씨는 “전화를 걸면 ‘안전한 사회, 유능한 정부, 성숙한 자치’라고 안내까지 하는 안행부가 국민정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정말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행부의 지침이 내려오기 전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조문을 받고 있는 일부 기초자치단체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조문객을 계속 받겠다”는 입장이다.
안행부 지방행정실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아직까지 실종자의 생환을 기다리는 가족들의 심정도 생각해야 하고, 합동분향소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 일단 광역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토록 했다”며 “교통이 발달돼 있는 점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주민들이 강력히 요구하면 기초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것을 제지할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분향소를 운영하는 안산시도 불만을 드러냈다. 안산시 관계자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뒤 안산시와 경기도가 안전행정부에 특별교부세 120억8800여만원을 요청했으나 내려온 돈은 20억원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추가지원 여부를 추후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일단 예비비 10억원을 포함해 자체 예산 12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들도 안행부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마을마다 사람들이 모여 슬퍼하고 고통을 나누려 하는데, 이 자리가 정부에 대한 불만의 자리가 될까 두려워 미리 그런 자리를 없애고 있다”면서 “군사독재 정권의 여론탄압이 다시 부활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돈을 아껴야 할 곳과 아끼지 말아야 할 곳을 모르는 정말 한심한 정부다. 우리는 한심한 정부의 대통령을 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한편 27일 오후 10시까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올림픽기념관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임시분향소’엔 빗속에도 불구 16만여명의 조문객이 찾아 고인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제단 앞에서 헌화를 하며 넋을 기렸다.
안전행정부가 전국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면서 시·군·구 기초자치단체는 제외한 사실이 27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공문을 통해 밝혀졌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26일 오후 9시10분 전국 광역자치단체에 보낸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지역 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을 통해 전국 17개 시·도청 소재지 별로 각 1개의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도록 주문했다. 28일 오전 9시에 분향소를 열어 안산지역의 합동영결식 당일까지 운영토록 했다. 설치장소는 시·도 청사를 원칙으로 하고, 제단 규모는 장소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판단토록 했다.
하지만 2가지 주문이 지자체를 황당하게 하고 있다. 안행부는 이같은 내용을 통보하면서 합동분향소 설치 소요경비는 자치단체의 예비비로 충당토록 했다. 중앙정부가 예산 지원이 없으니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알아서 분향소를 운영하라고 것이다.
이 뿐만 아니다. 안행부는 합동분향소 설치 대상지역에 시·군·구 등 기초자치단체는 제외토록 명시했다.

안전행정부가 지난 26일 밤 17개 시도에 내려보낸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지역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납득할 수 없는 조치’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기초 자치단체 간부 ㄱ씨는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겨 애도하고 있는 분위기인데 안행부에서 왜 이렇게 소극적으로 대응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방선거를 앞 둔 상황에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조치”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 ㄴ씨는 “전화를 걸면 ‘안전한 사회, 유능한 정부, 성숙한 자치’라고 안내까지 하는 안행부가 국민정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정말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행부의 지침이 내려오기 전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조문을 받고 있는 일부 기초자치단체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조문객을 계속 받겠다”는 입장이다.
안행부 지방행정실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아직까지 실종자의 생환을 기다리는 가족들의 심정도 생각해야 하고, 합동분향소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 일단 광역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토록 했다”며 “교통이 발달돼 있는 점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주민들이 강력히 요구하면 기초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것을 제지할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분향소를 운영하는 안산시도 불만을 드러냈다. 안산시 관계자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뒤 안산시와 경기도가 안전행정부에 특별교부세 120억8800여만원을 요청했으나 내려온 돈은 20억원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추가지원 여부를 추후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일단 예비비 10억원을 포함해 자체 예산 12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들도 안행부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마을마다 사람들이 모여 슬퍼하고 고통을 나누려 하는데, 이 자리가 정부에 대한 불만의 자리가 될까 두려워 미리 그런 자리를 없애고 있다”면서 “군사독재 정권의 여론탄압이 다시 부활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돈을 아껴야 할 곳과 아끼지 말아야 할 곳을 모르는 정말 한심한 정부다. 우리는 한심한 정부의 대통령을 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한편 27일 오후 10시까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올림픽기념관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임시분향소’엔 빗속에도 불구 16만여명의 조문객이 찾아 고인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제단 앞에서 헌화를 하며 넋을 기렸다.
경향신문

안전행정부가 지난 26일 밤 17개 시도에 내려보낸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지역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납득할 수 없는 조치’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기초 자치단체 간부 ㄱ씨는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겨 애도하고 있는 분위기인데 안행부에서 왜 이렇게 소극적으로 대응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방선거를 앞 둔 상황에서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조치”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초 자치단체 공무원 ㄴ씨는 “전화를 걸면 ‘안전한 사회, 유능한 정부, 성숙한 자치’라고 안내까지 하는 안행부가 국민정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정말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행부의 지침이 내려오기 전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해 조문을 받고 있는 일부 기초자치단체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조문객을 계속 받겠다”는 입장이다.
안행부 지방행정실 관계자는 <경향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아직까지 실종자의 생환을 기다리는 가족들의 심정도 생각해야 하고, 합동분향소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 일단 광역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토록 했다”며 “교통이 발달돼 있는 점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주민들이 강력히 요구하면 기초자치단체에 분향소를 설치하는 것을 제지할 생각이 없다”고 덧붙였다.
분향소를 운영하는 안산시도 불만을 드러냈다. 안산시 관계자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뒤 안산시와 경기도가 안전행정부에 특별교부세 120억8800여만원을 요청했으나 내려온 돈은 20억원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추가지원 여부를 추후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일단 예비비 10억원을 포함해 자체 예산 12억원을 투입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들도 안행부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마을마다 사람들이 모여 슬퍼하고 고통을 나누려 하는데, 이 자리가 정부에 대한 불만의 자리가 될까 두려워 미리 그런 자리를 없애고 있다”면서 “군사독재 정권의 여론탄압이 다시 부활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네티즌은 “돈을 아껴야 할 곳과 아끼지 말아야 할 곳을 모르는 정말 한심한 정부다. 우리는 한심한 정부의 대통령을 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한편 27일 오후 10시까지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안산올림픽기념관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임시분향소’엔 빗속에도 불구 16만여명의 조문객이 찾아 고인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제단 앞에서 헌화를 하며 넋을 기렸다.
경향신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