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지도자 658명, 대북식량지원 촉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11-04-12 20:18 조회3,77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세계식량계획(WFP)이 최근 대북 식량지원을 권고하고 나선 가운데 종교계 인사 658명이 대북 인도적 식량지원의 재개를 정부에 촉구했다.
인명진 갈릴리교회 담임목사와 법륜 스님, 이창번 천도교 종무원장, 김홍진 문정동성당 주임신부, 김정덕 원불교 교무 등 5대 종단 인사들로 구성된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종교인 모임’은 12일 서울 중구 한국언론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이뤄져 굶주림으로 고통받는 북한 주민들을 돕고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를 이룰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5대 종단 인사 658명이 서명한 성명서에서 “최근 세계식량계획이 북한의 식량 상황을 파악한 결과, 100만t 이상의 식량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 임산부, 수유여성, 장애인, 결핵환자 등 최소 610만명으로 추산되는 특별취약계층이 심각한 식량 부족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세계식량계획은 북한에 43만t의 국제적 지원을 권고하고 있다”며 “정부와 대북 지원 민간단체들이 대량으로 식량지원을 하지 않으면 수백만명의 아사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세계식량계획은 지난 2~3월 북한 실태조사를 벌인 뒤 “북한의 식량이 108만6000t 부족할 전망”이라며 “취약계층 610만명을 위해 43만4000t의 식량 지원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반기문 사무총장도 지난 8일 “한국 정부가 북한에 식량지원을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검토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세계식량계획과는 별도로 자체 조사를 계획하는 등 대북 식량지원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는 최근 민간단체의 북한 취약계층을 상대로 한 순수 인도적 지원 이외에 대규모 지원은 어렵다는 태도다. 정부 당국자는 “대북 인도적 지원은 남북관계 상황과 분배 투명성 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대북 식량지원은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