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징용 노무자 유골 2601위 확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10-01-10 20:46 조회3,72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에 끌려가 각종 노무작업에 동원됐다 사망한 한국인 노무동원자 등 한국인 2601명의 유골이 5년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노무동원자에 대한 유골 실태를 일본 정부가 인정하고 이에 대해 책임지고 한국 정부와 협력 조사한 것은 처음이다.
국무총리 산하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용봉)는 10일 “일본 정부와 함께 2005년 중순부터 지난해 말까지 유골 확인 작업을 거쳐 모두 2601위의 유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유골은 사찰, 납골당, 지방자치단체 창고 등 일본 전역 310곳에 한 구 한 구 보관돼 있던 것이다.
이번 유골 확인 작업은 2004년 12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 간 정상회담에서 처음 논의됐다. 이후 한·일 정부가 15차례 물밑접촉을 해 2005년 6월께부터 본격 진행했다. 일본 정부는 2005년 초부터 일본 각지의 기업, 종교단체, 지자체 등에 한국인 유골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는 협조 공문을 발송했다. 취합된 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양국 실무조사단이 유골 보관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작업을 벌여 유골함 내용물을 확인했다.
오일환 규명위원회 유해팀장은 “유골함에 사망자 이름과 본적지 등이 기재된 경우 이를 확인해 모두 52위의 유골 신원을 확인했고, 그 가운데 25위는 유족까지 확인해 유골 발견 사실을 통보했다”며 “그러나 대부분 이름·본적지 등이 기재돼 있지 않아 대부분의 유골이 신원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남은 문제는 확인된 유골의 봉환 절차다. 현재 일본 정부는 유골을 한국에 봉환하는 비용 일체는 부담하기로 합의했지만 현지 추도식 여부, 유족 초청, 조의금 등에 대해서는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고 있다. 오 팀장은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인 올해 안에는 유골 봉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 확인된 2601위 말고 아직 확인되지 않은 유골에 대한 확인작업도 중요하다. 오 팀장은 “한 구 한 구 보관된 유골 외에 깨진 상태로 합골돼 있는 유골이 꽤 많아 이에 대한 발굴·분류 작업이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또 “아직 공동묘지, 탄광 등 집단 매장지역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조사를 거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설득작업도 지속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국무총리 산하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용봉)는 10일 “일본 정부와 함께 2005년 중순부터 지난해 말까지 유골 확인 작업을 거쳐 모두 2601위의 유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유골은 사찰, 납골당, 지방자치단체 창고 등 일본 전역 310곳에 한 구 한 구 보관돼 있던 것이다.
이번 유골 확인 작업은 2004년 12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 간 정상회담에서 처음 논의됐다. 이후 한·일 정부가 15차례 물밑접촉을 해 2005년 6월께부터 본격 진행했다. 일본 정부는 2005년 초부터 일본 각지의 기업, 종교단체, 지자체 등에 한국인 유골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는 협조 공문을 발송했다. 취합된 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양국 실무조사단이 유골 보관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작업을 벌여 유골함 내용물을 확인했다.
오일환 규명위원회 유해팀장은 “유골함에 사망자 이름과 본적지 등이 기재된 경우 이를 확인해 모두 52위의 유골 신원을 확인했고, 그 가운데 25위는 유족까지 확인해 유골 발견 사실을 통보했다”며 “그러나 대부분 이름·본적지 등이 기재돼 있지 않아 대부분의 유골이 신원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남은 문제는 확인된 유골의 봉환 절차다. 현재 일본 정부는 유골을 한국에 봉환하는 비용 일체는 부담하기로 합의했지만 현지 추도식 여부, 유족 초청, 조의금 등에 대해서는 입장을 분명히 하지 않고 있다. 오 팀장은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인 올해 안에는 유골 봉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 확인된 2601위 말고 아직 확인되지 않은 유골에 대한 확인작업도 중요하다. 오 팀장은 “한 구 한 구 보관된 유골 외에 깨진 상태로 합골돼 있는 유골이 꽤 많아 이에 대한 발굴·분류 작업이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또 “아직 공동묘지, 탄광 등 집단 매장지역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조사를 거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설득작업도 지속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