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부쉬 한미정상 회담 갖고 공동선언문 발표 > 기타

본문 바로가기
영문뉴스 보기
2025년 9월 27일
남북공동선언 관철하여 조국통일 이룩하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기타

노무현-부쉬 한미정상 회담 갖고 공동선언문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05-11-17 00:57 조회1,745회 댓글0건

본문

한.미 정상은 17일 경주에서 회담을 갖고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한미정상 공동선언 전문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합중국 대통령은 2005년 11월17일 경주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부시 대통령은 경주에서 노 대통령과 함께 체험할 수 있었던 한국의 자연미와 옛 문화에 대한 깊은 감명을 표시하였다.

양 정상은 한미동맹, 북한 핵문제, 남북 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경제협력 그리고 지역 및 범세계적 문제에 대한 협력 등 폭넓은 사안에 관해 심도있는 협의를 하였다.

양 정상은 한미 동맹관계가 굳건함을 재확인하면서 북한 핵문제의 해결이 한반도에서 공고한 평화를 구축하는 데 긴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한미동맹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한미동맹이 지난 50여년간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여 왔다는데 주목하였다. 양 정상은 2003년 5월14일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바와 같이 한미관계가 포괄적이고 역동적이며 호혜적인 동맹관계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데 만족을 표명하였다.

양 정상은 주한미군 재조정 문제가 성공적으로 합의된 것을 평가하고, 이러한 재조정이 한미 연합방위력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양 정상은 주한미군이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긴요하다는데 대해 공동의 이해를 표명하였다.

양 정상은 한미동맹이 위협에의 대처 뿐만 아니라 아시아와 세계에서 민주주의, 시장경제, 자유 및 인권이라는 공동의 가치 증진을 위해 있다는데 동의하였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용산기지를 포함한 주한미군 기지이전 및 주한미군 일부 감축이 한미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성공적으로 합의된 것을 높이 평가하였다. 양 정상은 양측간에 이루어진 합의가 충실히 이행되고 있다는데 대해 만족을 표명하였다.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의 조속한 평화정착과 재건을 위한 한국군의 지원에 대해 사의를 표명하였으며 또한 한국 정부가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미동맹 강화에 기여한데 대해서도 사의를 표명하였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양자, 지역 및 범세계적인 상호관심 사안을 협의하기 위해 동맹 동반자관계를 위한 전략협의체라는 명칭의 장관급 전략대화를 출범시키기로 합의하였다. 양 정상은 2006년초에 첫번째 전략대화를 개최하는데 합의하였다.

◇북한 핵문제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장을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재강조하고, 북한 핵문제가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방식으로 해결되어야 하며 북한이 조속하고 검증가능하게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하였다.

양 정상은 9월19일 채택된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을 북한 비핵화라는 목표를 향한 중요한 진전으로 환영하였다. 양 정상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프로그램을 폐기하겠다는 북한의 공약을 환영하고, 공동성명에 제시된 조치들을 취해 나가겠다는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양 정상은 공동성명 이행이 논의될 제5차 6자회담에서 진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였다.

◇남북관계 및 평화체제 구축

노 대통령은 평화번영정책의 목표하에서 남북관계의 발전이 북핵문제 해결 진전과 상호 보강 할 수 있도록 조화롭게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재확인하였다. 부시 대통령은 남북간 화해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으며, 이러한 화해의 진전에 따라 계속 긴밀하게 협력하고 조율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하였다.

양 정상은 북한 핵문제 해결과정이 한반도에서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양 정상은 한반도에서 군사적 위협을 감소시키고 현 정전체제로부터 평화체제로 이행하는 것이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화해와 평화 통일에 기여할 것이라는데 동의하였다.

양 정상은 9월19일 6자회담 공동성명에 따라 평화체제에 관한 협상이 6자회담과는 별도의 장에서 직접 관련 당사자들간에 개최되어야 하고 6자회담의 진전에 수반될 것이라는데 동의하였으며, 평화체제에 관한 협상과 6자회담이 상호 보강하기를 기대하였다.

양 정상은 이러한 평화협상이 한미 동맹의 평화적 목표와 부합되게 한반도에서 군사적 위협 감소와 신뢰 증진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데 동의하였다.

양 정상은 북한 주민들의 상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공동의 희망에 입각하여 그들의 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계속 모색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경제.통상 관계

양 정상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이 아시아 태평양을 포괄하는 주요경제협력체로서 향후 역내 중요한 과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미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다가오는 6차 WTO(세계무역기구) 각료회의의 성공을 보장하고 WTO 도하개발어젠더(DDA) 협상의 최종 타결을 목표로 상호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양 정상은 긴밀한 경제적 유대가 양국관계의 중요한 지주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경제.통상 협력을 심화하고 강화하는 것이 양국의 번영과 자유에 기여할 것이라는데 동의하였다.

부시 대통령은 한국이 비자면제 계획 가입을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이 한국과 함께 비자면제 계획의 로드맵을 개발 하는데 공동 노력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비자면제 계획 가입에 대한 한국의 관심은 양국간 공고한 동반자 관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교류 증진과 상호 이해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지역 및 범세계적 협력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역내 안보문제에 공동 대처하기 위하여 지역다자안보대화 및 협력메카니즘을 발전시키기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와 관련, 양 정상은 6자회담 참가국들이 공동성명에서 동북아시아에서의 안보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합의한 것을 주목하고, 북핵 문제가 해결되면 6자회담이 역내 다자안보협의체로 발전될 수 있다는 데 참가국들간에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는데 유의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PKO(평화유지) 활동과 같은 유엔에서의 양자간 협력과 여타 국제기구에서의 양자간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양 정상은 전세계적인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초국가적 범죄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안보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양 정상은 지역 및 세계적 차원에서 군축 및 대량살상무기와 그 운반수단의 확산방지 노력에 있어서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결어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동맹간 완전한 동반자관계를 향해 계속 공동 노력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

[관련 보도자료]
(2nd LD) Roh, Bush reconfirm principle of peaceful resolution of N.K. nuke
By Hwang Doo-hyong

GYEONGJU, South Korea, Nov. 17 (Yonhap) --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ursday reaffirmed their pledge to use diplomacy to persuade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weapons.

In a joint statement after a one-hour summit here, President Roh Moo-hyun and his U.S. counterpart George W. Bush also said the current armistice signed at the end of the 1950-53 Korean War should be replaced with a peace regime to reduce military threats and help contribute to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e reconfirmed the principle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hould be resolved in a peaceful and diplomatic manner," the statement said.

Bush arrived in Busan Wednesday to attend the two-day annual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ummit in the southern harbor city from Friday.

It is the first time that Bush has visited South Korea since Roh"s inauguration as president in early 2003, although the two have held a total five bilateral meetings in Washington and on the sidelines of international forums.

The two leaders last met in Washington in June where they dismissed alleged cracks in the alliance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plomacy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e again stress that we will not tolerate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the statement said, urging the North to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at an early date in a verifiable way.

The South Korean and U.S. leaders welcomed as "important progress" the statement signed in Beijing in September at the end of the fourth round of the six-way talks on ending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s, saying "We also reconfirm our pledge to implement the steps stipulated in the joint statement."
The fourth round produced a joint statement in Beijing on Sept. 19, calling for North Korea to dismantle its nuclear weapons and related programs in return for security guarantees and economic benefits.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two key players of the multilateral disarmament talks, however, are still at odds over how the agreement should be facilitated. The six-way talks also involve South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Pyongyang refuses to scrap the weapons until it gets light-water nuclear reactors, while Washington is refusing to extend rewards until after North Korea scraps its nuclear weapons.

In a joint news conference held after the summit with Roh, Bush said the appropriate timing for the provision of light water reactors should be after North Korea abandoned its nuclear weapons programs.

Roh said he was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the six-party talks, despite the fact that the talks are difficult ones, adding "I do not have fundamental differences from President Bush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Roh-Bush summit came after Roh"s summit Wednesday with Chinese President Hu Jintao in Seoul, after which they called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be patient and more flexible in efforts to persuade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ambitions.

On Wednesday, Roh said concerned parties to the six-way talks should exercise patience to resolve the "difficult process."
At the end of the Roh-Bush summit, they agreed the six-party talks proces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replace the current armistice that dates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1950-53).

They agreed that dialogue separate from the six-party talks should be launched to discuss the transition to a peace regime, in the hope disarmament discussions and peace treaty talks could be complimentary.

The two leaders concurred that peace talks would be in line with the goal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of reducing the military threat and enhancing mutual trust on the Korean Peninsula.

Roh and Bush said they shared the understanding that even after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six-party talk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ultilateral security forum in Northeast Asia.

The sides agreed to launch a minister-level strategic consultative body in early 2006 to discuss bilateral,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issues.

Responding to rumors the South Korean president is contemplating a visit to Pyongyang, Roh said, "I will not pursue the inter-Korean summit just for the sake of talks, although we are always open to such talks."
"It"s up to North Koreans and we actively want it," he said, noting North Korea might consider an inter-Korean summit as useful ahead of the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On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Roh said, "We need to consider inter-Korean relations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even though human rights should be the common value of human society."
The joint statement by Roh and Bush said they had "exchanged views on the situation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and, based on a common hope for a better future, agreed to continue seeking ways to improve their conditions."
South Korea is abstaining from voting on a United Nations resolution calling for an improvement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out of concerns of souring ties with the Pyongyang.

U.S.-based Cables News Network (CNN) broadcast images on Sunday from a video it claims was smuggled out of North Korea and shows a public execution in the North.

Before flying into Busan, the venue for this year"s APEC forum, Bush met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in the ancient Japanese capital of Kyoto.

While in Japan, Bush lauded Taiwan for its smooth transition from an authoritarian state to a democratic and economically prosperous one.

Bush is to fly to Beijing Saturday after attending the two-day APEC summit in Busan and then to Mongolia in the last leg of his four-nation Asian tour.

At the press conference following his summit with Bush, Roh dismissed claims that the half-century-old alliance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is breaking apart, saying "The South Korea-U.S. relationship is smoother now than in any other government."
"We"ve almost resolved all the politically burdensome, explosive issues such as reduction of U.S. forces in South Korea, their redeployment, strategic flexibility, relocation of the Yongsan Garrison and the dispatch of South Korean troops to Iraq," he said.

Seoul officials have said the Seoul-Washington ties are undergoing some difficulties under Roh, who advocates a more independent foreign policy.

"That"s because we need to reflect our people"s pride in the role South Korea plays in the South Korea-U.S. relationship, which corresponds to our growing national power as a result of our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 official said.

A schism has also risen over a U.S. proposal to militarily intervene with South Korea in the event of a chaotic situation in North Korea, dubbed "Concept Plan 5029." South Korea opposes the plan, claiming it infringes on its sovereignty.

In line with a concept it calls "strategic flexibility", Washington is seeking to be able to base U.S. military troops in South Korea for deployment to conflict zones in other countries, a proposal that Seoul opposes.

Roh and Bush agreed in June to allow strategic flexibility and other alliance-related issues to be discussed further by working-level officials.

About 30,000 U.S. troops are stationed in South Korea, a legacy of the 1950-53 Korean War. The number is set to drop to 24,500 over the next few years.

Roh and Bush failed to address the history dispute with Japan.

Bush recently urged Asian nations to forget the past and "work out past differences and focus on the future."
On Wednesday, Roh said he and Hu stood together in opposing Japanese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s repeated pilgrimages to Yasukuni Shrine, which honors several convicted Japanese war criminals as well as millions of its war dead.

Roh only recently agreed to hold a summit with Koizumi in Busan Friday on the sidelines of the APEC summit. However, there will be no bilateral meeting between Hu and Koizumi in Busan in protest over the Japanese leader"s worshipping of war criminals, according to Chinese officials.

On economic issues, Roh and Bush agreed to cooperate closely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forthcoming 6th WTO ministerial conference and the final conclusion of the WTO Doha Development Agenda negotiations over greater trade liberalization.

They also announced that they will work to find ways to assist South Korea meet the requirements for membership in the U.S. visa waiver program.


hdh@yna.co.kr
(END)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부고]노길남 박사
노길남 박사 추모관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우리민족끼리
자주시보
사람일보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한겨레
경향신문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오마이뉴스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통일부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