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 color=red>입국불허 해외인사들 일부 허용</font> > 기타

본문 바로가기
영문뉴스 보기
2025년 10월 7일
남북공동선언 관철하여 조국통일 이룩하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기타

<font color=red>입국불허 해외인사들 일부 허용</font>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3-09-16 00:00 조회1,769회 댓글0건

본문

70, 80년대 일본 유럽 미주지역에서 민주운동, 통일운동을 했다는 등의 이유로 귀국하지 못했던 인사들 50명 가운데 36명의 귀국이 허용됐다.

‘해외 민주인사 명예회복과 귀국 보장을 위한 범국민추진위원회’(범추위)와 법무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 5일 동아일보 인터넷은 “정부가 범추위에서 신청한 귀국 대상 인사 50명 가운데 36명의 조건 없는 귀국을 허가했다”고 전했다.

이 보도는 이어 범추위측은 “재독일 철학자 송두율 교수, 김영무씨, 재일본 통일운동가 정경모씨 및 재일 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인사 11명 등 1차로 허가받지 못한 14명에 대해선 현재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1차 허가된 36명 중 귀국 의사를 밝힌 20여명을 19∼22일 서울 광주 부산에서 열리는 한가위 고향 방문 행사에 초청했다. 범추위는 8월 7일 출범 당시 해외인사 62명의 귀국 허용을 요구했으나 정부측과의 조정과정을 거쳐 50명에 대해 귀국 허용을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는 또 "현재까지 고향 방문에 참여하겠다고 답변한 인사는 고 이응로 화백의 조카 이희세씨, 1987년 이른바 <파독 광원 간첩단 사건>의 배후 인물로 지목됐던 김성수씨, 베를린 노동교실 회원 윤운섭씨, 일본 한통련 활동가 신귀성씨 등 20여명으로 알려졌다. 또 작곡가 윤이상씨(1995년 사망)의 부인으로 현재 평양과 독일에 번갈아 가며 체류하고 있는 이수자씨(78)도 귀국이 허용된 것으로 전해졌다"고 덧붙였다.

귀국허용 요구한 해외인사 62명 명단

임민식 1942 범민련 공동사무국 총장(덴마크)
양동민 1937 범민련 일본지역본부 의장(일본 오사카)
최철교 1931 범민련 일본지역본부 부의장(일본 지바)
강종헌 1951 범민련 일본지역본부 부의장(일본 도쿄)
황영치 1957 범민련 일본지역본부 사무국장(일본 지바)
이정수 1964 범청학련 해외본부 공동의장(일본 도쿄)
이영빈 1926 범민련 유럽지역본부 자문위원·목사(독일 프랑크푸르트)
김순환 1928 범민련 유럽지역본부 자문위원(독일 프랑크푸르트)
한계일 1931 범민련 유럽지역본부 중앙위원(독일 뮌헨)
김성수 1936 재독귀향촉진회 상임위원(독일 프랑크푸르트)
신옥자 1941 범민련 유럽지역본부 중앙위원(독일 프랑크푸르트)
이준식 1947 범민련 유럽지역본부 의장(독일 도르트문트)
석명손 국제고려인통일연합회 명예위원장(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조윤해 범민련 독립국가협동체지역본부 의장(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주영일 국제고려인통일연합회 부위원장(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전순영 1927 재캐나다코리안연합회 의장(캐나다 온타리오)
정학필 1936 범민련 캐나다지역본부 의장(캐나다 온타리오)
양은식 1937 범민련 재미본부 상임의장(미국 캘리포니아)
유태영 1930 범민련 재미본부 공동의장(미국 뉴욕)
배강웅 1941 범민련 재미본부 부의장(미국 캘리포니아)
김영무(독일 쾰른)
박대원(독일 쾰른)
윤무근 범민련 유럽지역(독일 베를린)
이수자 1927 고 윤이상씨 부인(독일 베를린)
박승옥(독일)
김형규(독일)
양원차 루르지방 우리문화연구소장(독일)
안건욱(독일)
최기환 한민련(스위스 제네바)
정규명 한민련(독일 프랑크푸르트)
이희세 한민련(프랑스 모티냑)
송두율 1944 민주사회건설협의회·독일 뮌스터대 교수(독일 베를린)
한영태 노동교실(독일 베를린)
윤운섭 노동교실(독일 베를린)
이준구(독일)
김대천 범민련 유럽지역(독일 보쿰)
장일중 재독동포협력회(독일 베를린)
하양희 범민련 유럽지역(독일 베를린)
이한경 범민련 유럽지역(독일 베를린)
이영준 한민련(독일 베를린)
김종한 베를린 세종학교 교장(독일 베를린)
정경모 1924 ‘씨알의 힘’사 대표(일본 요코하마)
곽동의 한통련 의장(일본)
김정부 1949 한통련 기획실장(일본 도쿄)
손형근 한통련 사무총장(일본)
김창오 1955 한통련 오사카본부 본부장(일본 오사카)
박남인 한통련 편집국장(일본)
김영희 한민통 국제차장(일본)
문세현 한청 중앙본부 부위원장(일본)
서순자 한청(일본)
최 보 한청(일본)
정승명 한청(일본)
정육자 한청(일본)
김양미 한청(일본)
고수춘 한청(일본)
강희문 한청(일본)
이준희 한청(일본)
윤강헌 한청(일본)
김경희 재일한국민주여성회 회장(일본)
이종현 유럽민협 의장(독일 뒤스부르크)
김진향(독일)
이 용 통일운동가(스웨덴)


64명 중 2명은 확인되지 않아 명단에 게재하지 못했음. 괄호 안은 현재 거주지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부고]노길남 박사
노길남 박사 추모관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우리민족끼리
자주시보
사람일보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한겨레
경향신문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오마이뉴스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통일부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