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성피해자 진상규명 촉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3-11-27 00:00 조회1,41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내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의 문제다. 죽기 전에 꼭 올바로 해결해야 한다."
일제시대 이른바 위안부로 강제로 끌려가 `성 노예`로 고초를 당한 `나눔의 집` 피해자 할머니들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국회를 찾아 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24일 오전 9시 30분경 국회 의원회관에 강일출, 김군자, 김순덕, 이옥선 할머니가 모습을 나타냈다. 멀리 광주에서 찾아온 `태평양전쟁 희생자 광주유족회` 이금주 할머니도 함께 했다.
할머니들이 이날 국회를 찾은 것은 국회 `과거사진상규명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을 다룬다는 소식을 듣고 이 법의 회기내 통과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날 오전 10시부터 열릴 예정이었던 특위는 26일 오후 2시로 연기됐고 이후 12월 3-5일경 법사위 심사를 거쳐 8-9일에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할머니들은 특위에 속한 의원들의 의원실을 일일이 방문해 자신들의 심경을 전달하고 법안을 통과시켜줄 것을 간곡히 부탁했다.
할머니들을 맞은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은 "일찍 해결했어야 하는데 늦게 해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할머님들의 문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존을 지키는 문제인데 역사의식이 없어 지금까지 끌어왔다"고 사과하고 "늦었지만 최선을 다 하겠다"고 약속했다.
할머니들은 "해방된 지 58년이나 지났는데 할머니들에 대해 한마디도 없고 대통령은 일본에 가서 지난 일을 덮어두자고 하니 버림받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시방(지금)이라도 힘 써주신다면 너무나 감사한다"고 말했다.
강일출 할머니는 "내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의 문제다. 살아 있는 동안에 올바로 처리하지 못하면 2세, 3세가 또 당하게 돼 있다. 죽기 전에 꼭 올바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그 때는 국가가 없었지만 지금은 국가가 있는데 정부에서 국회에서 응당 책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할머니들을 만난 한나라당 서상섭 의원은 "아직도 해방이 안된 남의 나라에서 사는 것 같죠? 일본에서 해방된지 60년이 다 되가는 데"라고 할머니들을 위로하고 "친일매국노가 판치고 있고 역사를 숨기고 살아왔지만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일본은 지금도 대동아전쟁 심정 그대로 기회만 되면 미국을 등에 업고 군사대국화 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상섭 의원은 "이 문제는 과거사가 아니라 현대사이고 어르신들의 고생을 아는데 더딘 것 같지만 꼭 이긴다"고 격려하고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노력해 16대 국회가 가기 전에 법을 통과시켜 국가차원의 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도 "특위는 문제없이 넘어갈 것이지만 법사위가 상당히 보수적"이라고 우려를 표하고 "의원 153명이 이미 찬성 도장을 찍었으니 반대는 안할 것이지만 계속 재인식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원회관에서 마주친 우리당 임종석 의원도 할머니들의 손을 꼭 잡고 격려의 마음을 전했으며, 특위 소속 다른 의원들은 자리에 없어 만나지 못한 채 김원웅 의원실에서 휴식을 취한 뒤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의원들과 면담을 마친 이옥순 할머니는는 처음 왔는데 만나보니까 반갑기는 한데 시원한 소식은 못들어 좀 유감이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김순덕 할머니는 "맨날 불안했는데 조금 기분이 낫다"며 김원웅 의원실에 걸린 자신의 그림 `뿌리 채 뽑힌 봉선화` 밑에서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김원웅 의원실에는 `일제강제연행한국생존자협회`에서 김종만 대전지부장 등 4명의 대표가 찾아와 `생활안정지원법`을 조속히 제정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날 할머니들의 국회방문에는 `나눔의 집` 안신권 사무국장과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박은희 사무국장과 자원봉사자 두 명이 함께 했으며, 이후 다시 법사위 소속 의원들을 방문하기로 하는 등 법 제정을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을 다 하기로 했다.
16대 국회의 마지막 회기 종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 20일 과거사진상규명특위가 첫 공청회를 여는 등 본격적인 법안 심의에 들어갔으며, 조만간 과거사 청산관련 법률안들이 법사위와 본회의에서 제정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김군자, 이옥선 할머니는 지난 8월 정부의 일제 피해자들에 대한 무성의한 대응에 항의하는 표시로 국적포기를 선언했으며, 광주 이금주 할머니와 함께 온 김보나 씨는 인터넷 카페 `국적포기필요없는나라만들기모임`(http://cafe.daum.net/pacificwar)을 운영하고 있다.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
[출처:통일뉴스:2003-11-24]
일제시대 이른바 위안부로 강제로 끌려가 `성 노예`로 고초를 당한 `나눔의 집` 피해자 할머니들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국회를 찾아 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할머니들이 이날 국회를 찾은 것은 국회 `과거사진상규명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을 다룬다는 소식을 듣고 이 법의 회기내 통과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날 오전 10시부터 열릴 예정이었던 특위는 26일 오후 2시로 연기됐고 이후 12월 3-5일경 법사위 심사를 거쳐 8-9일에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할머니들을 맞은 한나라당 송광호 의원은 "일찍 해결했어야 하는데 늦게 해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할머님들의 문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존을 지키는 문제인데 역사의식이 없어 지금까지 끌어왔다"고 사과하고 "늦었지만 최선을 다 하겠다"고 약속했다.
할머니들은 "해방된 지 58년이나 지났는데 할머니들에 대해 한마디도 없고 대통령은 일본에 가서 지난 일을 덮어두자고 하니 버림받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시방(지금)이라도 힘 써주신다면 너무나 감사한다"고 말했다.
강일출 할머니는 "내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의 문제다. 살아 있는 동안에 올바로 처리하지 못하면 2세, 3세가 또 당하게 돼 있다. 죽기 전에 꼭 올바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그 때는 국가가 없었지만 지금은 국가가 있는데 정부에서 국회에서 응당 책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상섭 의원은 "이 문제는 과거사가 아니라 현대사이고 어르신들의 고생을 아는데 더딘 것 같지만 꼭 이긴다"고 격려하고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노력해 16대 국회가 가기 전에 법을 통과시켜 국가차원의 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도 "특위는 문제없이 넘어갈 것이지만 법사위가 상당히 보수적"이라고 우려를 표하고 "의원 153명이 이미 찬성 도장을 찍었으니 반대는 안할 것이지만 계속 재인식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원회관에서 마주친 우리당 임종석 의원도 할머니들의 손을 꼭 잡고 격려의 마음을 전했으며, 특위 소속 다른 의원들은 자리에 없어 만나지 못한 채 김원웅 의원실에서 휴식을 취한 뒤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의원들과 면담을 마친 이옥순 할머니는는 처음 왔는데 만나보니까 반갑기는 한데 시원한 소식은 못들어 좀 유감이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김순덕 할머니는 "맨날 불안했는데 조금 기분이 낫다"며 김원웅 의원실에 걸린 자신의 그림 `뿌리 채 뽑힌 봉선화` 밑에서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김원웅 의원실에는 `일제강제연행한국생존자협회`에서 김종만 대전지부장 등 4명의 대표가 찾아와 `생활안정지원법`을 조속히 제정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날 할머니들의 국회방문에는 `나눔의 집` 안신권 사무국장과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박은희 사무국장과 자원봉사자 두 명이 함께 했으며, 이후 다시 법사위 소속 의원들을 방문하기로 하는 등 법 제정을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을 다 하기로 했다.
16대 국회의 마지막 회기 종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 20일 과거사진상규명특위가 첫 공청회를 여는 등 본격적인 법안 심의에 들어갔으며, 조만간 과거사 청산관련 법률안들이 법사위와 본회의에서 제정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김군자, 이옥선 할머니는 지난 8월 정부의 일제 피해자들에 대한 무성의한 대응에 항의하는 표시로 국적포기를 선언했으며, 광주 이금주 할머니와 함께 온 김보나 씨는 인터넷 카페 `국적포기필요없는나라만들기모임`(http://cafe.daum.net/pacificwar)을 운영하고 있다.김치관 기자 (ckkim@tongilnews.com )
[출처:통일뉴스:2003-1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