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대, 10주기 방북불허 유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4-07-15 00:00 조회1,89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통일운동 단체들의 연대모임인 "6.15남북공동선언 실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통일연대"(이하 통일연대)는 고 김일성 주석 10주기를 맞아 8일 성명을 발표하고 정부가 남측 인사들의 방북을 불허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통일연대는 성명에서 "남과 북이 앞으로도 계속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아래 단결하자고 각종 회의와 공동행사들에서 선언하고 있는 지금, 북녘에서 전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하는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의 참가를 불허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다"며 "정부당국은 "6.15공동선언 실현", "남북관계 발전"에 실천적으로 임하여 냉전과 분열의 모든 잔재들을 청산하고 화해와 단합을 위한 길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비록 이번 10주기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은 참가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6.15공동선언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남과 북, 해외 온 겨레의 단합과 단결이 더 굳건해 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밝히고 "북측 동포들에게 추도의 인사를" 전했다.
성명서
7월 8일로 고 김일성 주석 사망 10주기가 된다.
우리는 지난 94년 남과 북의 정상회담 발표로 겨레가 한껏 고무되어 있던 와중에, 고 김일성 주석의 급작스러운 사망을 계기로 겨레의 통일전도에서 많은 난관이 발생하였음을 기억하고 있다.
생면부지의 남이나, 원수지간 일지라도 망자에는 예를 차리는 것이 인류 보편의 정서요 도덕이다. 하물며 정상회담의 한 당사자가 사망한 상황에서야 당연히 회담의 합의정신에 따라 예를 차렸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당시 김영삼 정부가 전군 비상경계령, 통일운동에 대한 탄압 등 극단적인 대결정책을 펼쳐 통일 진전을 가로막고, 미국이 감행하는 경제봉쇄와 군사적 긴장고조에 동조하여 북녘 동포들의 고통을 더해주었던 것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었다.
우리는 지도자를 잃은 슬픔, 엄청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제네바합의를 외면한 채 극악한 경제봉쇄를 감행하고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던 미국의 위협 등 삼중, 사중의 고통을 극복하고 6.15공동선언 이행으로 나아가고 있는 북측 전체 동포들에게 경의의 뜻을 전한다.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합의 이후, 남과 북은 공동선언 이행을 통해 분열과 대결의 관계에서 단합과 신뢰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무려 4년의 시간동안 천지가 개벽할 정도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높아진 토대위에서 우리는 남측 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공동선언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남과 북이 앞으로도 계속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아래 단결하자고 각종 회의와 공동행사들에서 선언하고 있는 지금, 북녘에서 전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하는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의 참가를 불허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다.
특히 지난 1월 고 문익환목사 10주기 추모행사에 북측이 흔쾌히 참가했던 것을 되돌아 본다면 더더욱 그러하다.
정부당국은 ‘6.15공동선언 실현’, ‘남북관계 발전’에 실천적으로 임하여 냉전과 분열의 모든 잔재들을 청산하고 화해와 단합을 위한 길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비록 이번 10주기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은 참가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6.15공동선언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남과 북, 해외 온 겨레의 단합과 단결이 더 굳건해 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다시한번 북측 동포들에게 추도의 인사를 전하는 바이다.
2004년 7월 8일
6.15남북공동선언실현과 한반도평화를위한 통일연대
김치관기자
[출처; 통일뉴스 7-10-04]
통일연대는 성명에서 "남과 북이 앞으로도 계속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아래 단결하자고 각종 회의와 공동행사들에서 선언하고 있는 지금, 북녘에서 전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하는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의 참가를 불허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다"며 "정부당국은 "6.15공동선언 실현", "남북관계 발전"에 실천적으로 임하여 냉전과 분열의 모든 잔재들을 청산하고 화해와 단합을 위한 길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비록 이번 10주기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은 참가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6.15공동선언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남과 북, 해외 온 겨레의 단합과 단결이 더 굳건해 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밝히고 "북측 동포들에게 추도의 인사를" 전했다.
성명서
7월 8일로 고 김일성 주석 사망 10주기가 된다.
우리는 지난 94년 남과 북의 정상회담 발표로 겨레가 한껏 고무되어 있던 와중에, 고 김일성 주석의 급작스러운 사망을 계기로 겨레의 통일전도에서 많은 난관이 발생하였음을 기억하고 있다.
생면부지의 남이나, 원수지간 일지라도 망자에는 예를 차리는 것이 인류 보편의 정서요 도덕이다. 하물며 정상회담의 한 당사자가 사망한 상황에서야 당연히 회담의 합의정신에 따라 예를 차렸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당시 김영삼 정부가 전군 비상경계령, 통일운동에 대한 탄압 등 극단적인 대결정책을 펼쳐 통일 진전을 가로막고, 미국이 감행하는 경제봉쇄와 군사적 긴장고조에 동조하여 북녘 동포들의 고통을 더해주었던 것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었다.
우리는 지도자를 잃은 슬픔, 엄청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제네바합의를 외면한 채 극악한 경제봉쇄를 감행하고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던 미국의 위협 등 삼중, 사중의 고통을 극복하고 6.15공동선언 이행으로 나아가고 있는 북측 전체 동포들에게 경의의 뜻을 전한다.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합의 이후, 남과 북은 공동선언 이행을 통해 분열과 대결의 관계에서 단합과 신뢰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무려 4년의 시간동안 천지가 개벽할 정도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높아진 토대위에서 우리는 남측 당국이 더 적극적으로 공동선언 이행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남과 북이 앞으로도 계속 ‘우리민족끼리’의 정신아래 단결하자고 각종 회의와 공동행사들에서 선언하고 있는 지금, 북녘에서 전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하는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의 참가를 불허할 이유는 아무것도 없다.
특히 지난 1월 고 문익환목사 10주기 추모행사에 북측이 흔쾌히 참가했던 것을 되돌아 본다면 더더욱 그러하다.
정부당국은 ‘6.15공동선언 실현’, ‘남북관계 발전’에 실천적으로 임하여 냉전과 분열의 모든 잔재들을 청산하고 화해와 단합을 위한 길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비록 이번 10주기 추도행사에 남측 인사들은 참가하지 못하였지만, 앞으로 6.15공동선언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남과 북, 해외 온 겨레의 단합과 단결이 더 굳건해 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다시한번 북측 동포들에게 추도의 인사를 전하는 바이다.
2004년 7월 8일
6.15남북공동선언실현과 한반도평화를위한 통일연대
김치관기자
[출처; 통일뉴스 7-10-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