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폐기장 재추진 반대 상경시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4-10-27 00:00 조회1,50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부안군민 4천여명,
부안 핵폐기장 완전 백지화 촉구...내일부터 3일간 삼보일배도
원전센터 부지를 2곳으로 분산 선정하는 정부의 방안이 사실상 확정되는 등 정부의 핵폐기장 정책이 구체화되고 있는 10월. 핵폐기장의 완전 백지화를 기대했던 부안 주민들의 상경 집중 투쟁이 재개됐다.

이들은 총리에게 보내는 항의서한을 통해 "부안은 그 동안의 희생으로도 충분하다. 그 동안의 투쟁으로 생계를 제대로 꾸리지 못한 주민이 비관하여 자살할 정도"라며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피폐해져 있는 부안군민들은 더 이상의 희생을 원치 않는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폐기장 부안 유치 완전 백지화 선언 ▲주민투표 강행 반대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 등을 촉구했다.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을 노란 물결로 가득 채운 참가자들은 대부분 가을일을 앞두고 있는 농민, 어민이었으며 이 밖에도 상인, 택시기사 등 다양한 주민들로 구성됐다.
△핵폐기장 반대 부안 상경투쟁 ⓒ민중의소리 김철수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탑골공원까지 행진을 했으며 탑골공원에서 정리집회를 갖고 자진 해산했다.
한편, 내일(5일)부터 7일까지 50여 명의 삼보일배 참가단은 탑골공원에서 국회 앞까지 삼보일배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삼보일배는 탑골공원-교보빌딩-시청-이대-신촌-서강대교를 거쳐 7일 국회에 입성한다. 그리고 마지막 날인 7일 12시 반에는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핵폐기장 백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을 예정이다.
부안 지역주민 및 시민사회단체 등 1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인 이번 삼보일배는 지난 해 10월 열흘에 걸쳐 부안에서 전북도청앞까지 벌인 이후로 만 1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핵폐기장 반대 부안 상경투쟁 ⓒ민중의소리 김철수
정부, 핵폐기장 재추진 꼼수 쓰나...
부안 군민들 아직 안심 못해
정부는 지난 9월 16일 핵폐기장 부지 추가신청 지역이 나오지 않자 유치 추진 일정을 중단하고 시민단체를 포함하는 사회적 협의기구를 만들어 문제를 풀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군민들은 "부안 핵폐기장 백지화"에 대한 승리를 얻은 듯 기뻐하고 있었으나 곧 이어 정부 일각에서 "꼼수"를 동원하여 부안 핵폐기장 재추진할 움직임을 보이자 또 다시 대규모 투쟁에 나선 것.
군민들은 정부가 많은 상처와 불신을 야기시켰던 부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고 부안 핵폐기장의 완전 백지화를 선언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오히려 정부 일각에서는 고준위와 중, 저준위 폐기물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군민들을 재설득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발전소 직원들의 작업복이나 장갑 등 방사능 배출 가능성이 비교적 작은 저준위 폐기물 처리시설을 짓는다는 이유로 부안군민의 반발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일 정부는 중앙청사에서 총리실,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행정자치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원전수거물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일단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을 오는 2008년 이전에 건설하기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라북도와 부안군 내 찬핵단체들의 계속되는 활동으로 인해 부안군은 여전히 작년 부안 사태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 2월 전 부안군민의 전폭적 지지를 받고 치러졌던 주민투표를 인정하지 않는 김종규 부안군수를 비롯한 일부 군 의원들은 얼마 전 해당 상임위인 자치행정위원회에서 심사 중인 주민투표조례안을 본회의에서 가결시킴으로서 또 다른 주민투표를 강행하려 해 반발을 사고 있다.
현재까지 군의회 의장을 비롯한 과반수 의원들이 조례안의 효력에 문제를 제기, 발효되진 않고 있으나 핵폐기장을 둘러싸고 최근 벌어지고 있는 사태들은 부안 군민들을 또 다시 불안에 떨게 만들고 있다.
장상종 기자
[출처; 통일뉴스 10-04--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