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청 박장홍 지도위원 31일 밤 운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족통신 작성일06-08-31 16:46 조회2,64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지도위원인 박장홍 씨가 31일 밤 끝내 숨졌다. 향년 40세. 유족으로는 부친과 모친, 부인 문성희씨, 동생들이 있다.
"청년운동가 박장홍 동지 민족민주장 장례위원회"는 1일 "부고"를 통해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 집행위원장을 역임한 박장홍 동지가 2006년 8월31일 오후 10시10분 숨을 거두었다는 슬픈 소식을 전합니다"라고 밝혔다.
<##IMAGE##> 장례위원회는 빈소를 부산보훈병원 영안실203호(051-601-6796)로 정하고 장례식은 3일 "청년운동가 박장홍 동지 민족민주장"으로 치를 예정이다. 장례식은 오전 7시 부산보훈병원에서 발인식, 오전 8시에 영결식을 갖고 낮 12시에 경남 양산시 솥발산 공원묘지에 안장할 계획이다.
장례위원회는 이승호 한청 의장과 한충목 통일연대 집행위원장 등 7명이 공동으로 위원장을 맡고 민병렬 민주노동당 부산시당 위원장이 호상을, 김수철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 등이 집행위원장을 맡는다.
고인은 1966년 9월 25일 부산에서 출생해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해 학생운동을 시작으로 사회운동에 투신해 부산민주청년회 회장,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 한청 조국통일위원장, 한청 부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지도위원, 한청 지도위원은 물론 전국민중연대 정책연구원에 기획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활발한 청년운동과 진보운동을 펼쳐왔다.
고인은 특히 최근 통일뉴스에 6회에 걸쳐 기고한 <"자주적 자립 경제" 건설을 향하여>라는 글을 통해 "자주적 자립 경제"에 대한 개념과 각 영역별 정책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고인은 지난 8월 13일 부산에서 행인에 의해 의식불명상태로 발견돼 인근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혼수상태가 지속돼 산소호흡기에 생명을 의존해오다 끝내 회복되지 못했다.
김수철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은 "담당의사가 이틀전에 계속 폐에 물이 차서 며칠 못간다며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말이 있었다"며 "어제 혈압이 떨어져 승압제를 썼는데 갑자기 저녁에 약을 써도 안 되는 상황이 돼서 밤 10시가 조금 지나 운명했다"고 전했다.
김수철 의장은 "20년동안 청년운동과 변혁운동의 한 길에 모든 걸 깡그리 바쳐온 박장홍 동지가 저 세상에서나마 편하게 눈을 감길 바란다"며 "박장홍 동지가 못다한 몫은 동지들이 해나갈 것이니 편히 잠들길 빈다"고 말했다.
故 박장홍 약력
1966년 9월 25일(음력) 부산 장전동 출생
아버지 박종만씨 어머니 안미씨 사이에 3남 1녀 중 장남
부인 문성희(전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부경지부장)
내성고등학교졸업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대학시절 학생운동, 야학활동
<청년운동>
1991년 부산민주청년회 가입, 상근활동
1991년 부산민주청년회 조직국장, 교육국장
1993년~1995년 부산민주청년회 사무국장
1995년 청년통일선봉대 대장
1996년~1999년 부산민주청년회 회장
1997년 부산경남지역청년단체협의회(부경청협) 집행위원장
1998년 부산울산경남지역청년단체협의회(부울경청협) 의장
1998년~1999년 IMF반대 경제주권수호를 위한 부산지역 청년운동본부 본부장
1999년~2000년 민족의 자주통일과 민중생존권보장을 위한 청년연석회의 통일위원장
1999년~2004년 부산민족민주청년회(부산민청)의장
2000년 민족통일대축전 청년준비위원회 집행위원장
2001년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조국통일위원장, 8.15민족통일대축전 평양방북대표단
2001년~2004년 6.15공동선언실현 부산청년학생연대 공동대표
2002년~2004년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
2005년~현 부산민청 지도위원, 한청 지도위원
2006년 <김우택 청년상> 수상
<진보운동>
1998년 IMF반대 경제주권수호 부산시민대책위 공동대표
1999년 민족자주 민중생존권쟁취 부산공투본 공동대표
2001년 6.15공동선언실현 부산통일연대 공동대표
2004년 부산민중연대 공동대표
2004년 민주노동당 중앙대의원
2004년 민주노동당 부산진구(갑) 총선대책본부 본부장
2005년 민주주의민족통일 부산연합 집행위원장
2005년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 집행위원장
2006년~현 전국민중연대 정책연구원 기획위원
(자료 제공 - 한청)
[작성일자: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2006-09-01]
"청년운동가 박장홍 동지 민족민주장 장례위원회"는 1일 "부고"를 통해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 집행위원장을 역임한 박장홍 동지가 2006년 8월31일 오후 10시10분 숨을 거두었다는 슬픈 소식을 전합니다"라고 밝혔다.
<##IMAGE##> 장례위원회는 빈소를 부산보훈병원 영안실203호(051-601-6796)로 정하고 장례식은 3일 "청년운동가 박장홍 동지 민족민주장"으로 치를 예정이다. 장례식은 오전 7시 부산보훈병원에서 발인식, 오전 8시에 영결식을 갖고 낮 12시에 경남 양산시 솥발산 공원묘지에 안장할 계획이다.
장례위원회는 이승호 한청 의장과 한충목 통일연대 집행위원장 등 7명이 공동으로 위원장을 맡고 민병렬 민주노동당 부산시당 위원장이 호상을, 김수철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 등이 집행위원장을 맡는다.
고인은 1966년 9월 25일 부산에서 출생해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해 학생운동을 시작으로 사회운동에 투신해 부산민주청년회 회장,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 한청 조국통일위원장, 한청 부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지도위원, 한청 지도위원은 물론 전국민중연대 정책연구원에 기획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활발한 청년운동과 진보운동을 펼쳐왔다.
고인은 특히 최근 통일뉴스에 6회에 걸쳐 기고한 <"자주적 자립 경제" 건설을 향하여>라는 글을 통해 "자주적 자립 경제"에 대한 개념과 각 영역별 정책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고인은 지난 8월 13일 부산에서 행인에 의해 의식불명상태로 발견돼 인근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혼수상태가 지속돼 산소호흡기에 생명을 의존해오다 끝내 회복되지 못했다.
김수철 부산민족민주청년회 의장은 "담당의사가 이틀전에 계속 폐에 물이 차서 며칠 못간다며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말이 있었다"며 "어제 혈압이 떨어져 승압제를 썼는데 갑자기 저녁에 약을 써도 안 되는 상황이 돼서 밤 10시가 조금 지나 운명했다"고 전했다.
김수철 의장은 "20년동안 청년운동과 변혁운동의 한 길에 모든 걸 깡그리 바쳐온 박장홍 동지가 저 세상에서나마 편하게 눈을 감길 바란다"며 "박장홍 동지가 못다한 몫은 동지들이 해나갈 것이니 편히 잠들길 빈다"고 말했다.
故 박장홍 약력
1966년 9월 25일(음력) 부산 장전동 출생
아버지 박종만씨 어머니 안미씨 사이에 3남 1녀 중 장남
부인 문성희(전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부경지부장)
내성고등학교졸업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대학시절 학생운동, 야학활동
<청년운동>
1991년 부산민주청년회 가입, 상근활동
1991년 부산민주청년회 조직국장, 교육국장
1993년~1995년 부산민주청년회 사무국장
1995년 청년통일선봉대 대장
1996년~1999년 부산민주청년회 회장
1997년 부산경남지역청년단체협의회(부경청협) 집행위원장
1998년 부산울산경남지역청년단체협의회(부울경청협) 의장
1998년~1999년 IMF반대 경제주권수호를 위한 부산지역 청년운동본부 본부장
1999년~2000년 민족의 자주통일과 민중생존권보장을 위한 청년연석회의 통일위원장
1999년~2004년 부산민족민주청년회(부산민청)의장
2000년 민족통일대축전 청년준비위원회 집행위원장
2001년 한국청년단체협의회(한청) 조국통일위원장, 8.15민족통일대축전 평양방북대표단
2001년~2004년 6.15공동선언실현 부산청년학생연대 공동대표
2002년~2004년 한국청년단체협의회 부의장
2005년~현 부산민청 지도위원, 한청 지도위원
2006년 <김우택 청년상> 수상
<진보운동>
1998년 IMF반대 경제주권수호 부산시민대책위 공동대표
1999년 민족자주 민중생존권쟁취 부산공투본 공동대표
2001년 6.15공동선언실현 부산통일연대 공동대표
2004년 부산민중연대 공동대표
2004년 민주노동당 중앙대의원
2004년 민주노동당 부산진구(갑) 총선대책본부 본부장
2005년 민주주의민족통일 부산연합 집행위원장
2005년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 집행위원장
2006년~현 전국민중연대 정책연구원 기획위원
(자료 제공 - 한청)
[작성일자: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2006-09-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