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률 89.6%》의 신기한 약 > 기타

본문 바로가기
영문뉴스 보기
2025년 10월 6일
남북공동선언 관철하여 조국통일 이룩하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기타

《완치률 89.6%》의 신기한 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1-08-27 00:00 조회1,681회 댓글0건

본문

간염, 만성대장염, 폴리프, 당뇨병, 등에 특효
 【평양발 김삼영, 강이룩기자】 우리 나라 부강제약회사에서 개발된 금당-2주사약이 치료효과가 빠르고 완치률이 높은것으로 하여 국내에서 커다란 파문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 주사약은 간염, 만성대장염, 폴리프, 당뇨병, 불면증, 감기 등의 병치료에 특효가 있다고 한다.
주성분은 개성고려인삼에서 추출

 96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건성에서 국가규격으로 인정된 금당-2주사약은 올해 4월 인민들속에서 널리 퍼 진 약의 효력과 안전성이 재평가되여 조선약전품으로 되였다.

 《치료를 받은 전국각지 인민들로부터 덕택으로 병이 완치되여 고맙다는 내용의 편지가 수천통 날아 오고 있습니다. 우리 인민들은 모두 금당-2주사약이라고 하면 효능 높은 약으로 알고 있습니다.》(부강제약회사 전승훈사장)

 이제까지 약 1천명의 림상실험을 거쳐 수백만명이 이 주사를 리용하였다고 한다. 부강제약회사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 18년동안에 수많은 환자들이 금당-2주사약을 사용하였는데 100% 좋은 효과를 보았으며 89.6%가 완치되였다.

 사실 수리아보건성의 주최하에 진행된 국제약품림상검토경쟁(2000년 11월∼2001년 1월, 디마스크)에서 금당-2주사약을 맞은 50명의 환자들이 모두 완치되였다. 하여 이 주사약은 경쟁에 참가한 미국의 인터훼론, 일본의 라엔네크, 강력미노화겐-씨(C)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약품들을 릉가하여 1등으로 평가되였다. 또 경쟁에 참가하여 다른 약들을 쓰고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이 경쟁이 끝난 다음 금당-2주사약을 맞고 100% 완치되는 신기한 현상이 일어 났다.

 금당-2주사약에는 희토류미량비료를 뿌린곳에서 독특한 방법으로 재배한 개성고려인삼에서 추출된 당체(사카라이드)와 약간의 아미노산들, 경희토류들과 미량의 금, 백금 등이 들어 있다.

 이 주사약은 우에서 밝힌 병외에 간경변증, 간복수, 취장염, 각종 신경통, 위 및 12지장궤양, 위염, 허약증, 자궁출혈을 포함한 장기출혈, 알레르기성피부염, 만성방광염, 수술후유증 등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도 쓰인다.(관련기사)

높은 국제적평가
도이췰란드 검정원에서 100% 합격

 에짚트 보건성 가밀라 무싸제1부상(교수, 박사)은 《금당-2주사약은 인류에게 서방의 많은 값 비싼 약들을 쓰지 않고도 건강을 훨씬 증진시킬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고 찬사를 아끼지 않고 있다.

 또 파키스탄 약학박사교수 아부둘 라자크 몰라이씨, 미국 아이오씨(IOC)의 약학박사교수 수영리씨, 유엔의사 박사교수 아흐메드씨 등등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자들도 금당-2주사약의 과학적원리와 림상효과에 감탄하고 있다.

 99년에는 도이췰란드 검정원에서 100% 합격이라는 가장 높은 급의 검사증이 발급, 98년 중국 훈춘에서의 국제전시회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는 등 국제적으로도 훌륭한 평정을 받고 있다.

 현재 금당-2주사약은 수리아, 중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와 중근동을 비롯한 여러 나라와 지역에 수출되고 있다.

 재일동포들이 편리한곳으로서는 평양의 고려호텔, 양각도호텔에서 판매(1갑-8암플로 55딸라, 사용량은 개개인 각이하지만 대체 한주기에 8암플부터 56암플), 친선병원에서도 취급되고 있다.

 부강제약회사에서는 현재 혈궁불로정, 금강청혈교갑 등 효능 높은 건강식품들도 생산하고 있다.[ 조선신보 01 / 7 / 18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부고]노길남 박사
노길남 박사 추모관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우리민족끼리
자주시보
사람일보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한겨레
경향신문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오마이뉴스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통일부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