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선, 국민여론 모아 특별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2-03-25 00:00 조회1,44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국민여론 모아 특별법 제정에 힘쓸 것”
민족정기를 세우는 의원모임’ 김희선 회장을 만나
해방이후 처음으로 국회의원들이 친일행위자를 공식적으로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회장=김희선) 소속 의원들은 3.1절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친일반민족행위자 1차 명단’을 발표했다.
/ 동대신문 제공
이번에 발표된 명단에는 일제 때 조선일보 사주인 방응모와 동아일보 사주인 김성수 등 주류 언론사들과 관련된 인물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조선일보 등 몇몇 보수 언론들은 명단의 객관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각 정당들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 김희선(민주당) 의원을 만나 친일반민족행위자 발표 과정과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친일행위자 명단을 발표하게 된 계기는.
작년에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를 계기로 몇몇 국회의원들이 모여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을 만들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1차 발표는 그동안 사회 곳곳에 존재했던 일제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이 일본 내에서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등 과거의 잘못을 청산하려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을 주어,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었다.
명단의 객관성을 문제삼는 의견도 있는데.
이번 1차 발표는 광복회에서 친일행위자를 발표해 달라는 청원을 하며 제출한 친일행위자 692명과 발표 보류 상태였던 17명 중 16명을 포함하여 총 708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선일보 등 몇몇 신문은 이들 중 추가된 16명을 선출한 과정을 문제삼았다.
하지만 발표 보류 상태였던 17명의 경우 몇몇 신문사의 주장처럼 친일 행위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닌 발표 시점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 정도였다. 이들은 학계와 법조계, 언론계 인물들로 구성된 9명의 자문위원들 합의 아래 명단에 포함된 것이므로 객관성 여부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발표 초기와 다르게 국민적 관심이 점점 떨어지고 있어 단순한 발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큰데.
모임 내부에서도 가장 우려하고 있는 점이다. 국민들의 관심이 떨어질 경우 이번 발표가 단순한 해프닝으로 마무리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여론을 끌어 모아 빠른 시일 안에 ‘친일행위자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별법이 제정되면 2차 발표부터는 국가기관에서 조사 및 발표를 맡아서 할 수 있게 되고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일제잔재 청산 운동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친일 명단 발표가 오랫동안 왜곡되었던 역사를 바로 잡는 첫걸음인 만큼 많은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
‘친일행위자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이달 중 반민족 행위를 규정하는 범주 등에 대한 공청회를 2차례 정도 가질 계획이다. 더불어 모임에 소속된 여·야 의원들이 각 당의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한나라당에서도 일부 젊은 의원들이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다. 빠르면 4월 정기국회 때 입법안을 제출하여 특별법을 제정하도록 힘쓸 계획이다.
동국대 김진성 기자
02년 3월 14일 21:46
[출처; 유뉴스 www.unews.co.kr]
민족정기를 세우는 의원모임’ 김희선 회장을 만나
해방이후 처음으로 국회의원들이 친일행위자를 공식적으로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회장=김희선) 소속 의원들은 3.1절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친일반민족행위자 1차 명단’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명단에는 일제 때 조선일보 사주인 방응모와 동아일보 사주인 김성수 등 주류 언론사들과 관련된 인물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조선일보 등 몇몇 보수 언론들은 명단의 객관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각 정당들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 김희선(민주당) 의원을 만나 친일반민족행위자 발표 과정과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친일행위자 명단을 발표하게 된 계기는.
작년에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를 계기로 몇몇 국회의원들이 모여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을 만들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1차 발표는 그동안 사회 곳곳에 존재했던 일제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이 일본 내에서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등 과거의 잘못을 청산하려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을 주어,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었다.
명단의 객관성을 문제삼는 의견도 있는데.
이번 1차 발표는 광복회에서 친일행위자를 발표해 달라는 청원을 하며 제출한 친일행위자 692명과 발표 보류 상태였던 17명 중 16명을 포함하여 총 708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선일보 등 몇몇 신문은 이들 중 추가된 16명을 선출한 과정을 문제삼았다.
하지만 발표 보류 상태였던 17명의 경우 몇몇 신문사의 주장처럼 친일 행위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닌 발표 시점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 정도였다. 이들은 학계와 법조계, 언론계 인물들로 구성된 9명의 자문위원들 합의 아래 명단에 포함된 것이므로 객관성 여부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발표 초기와 다르게 국민적 관심이 점점 떨어지고 있어 단순한 발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큰데.
모임 내부에서도 가장 우려하고 있는 점이다. 국민들의 관심이 떨어질 경우 이번 발표가 단순한 해프닝으로 마무리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여론을 끌어 모아 빠른 시일 안에 ‘친일행위자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별법이 제정되면 2차 발표부터는 국가기관에서 조사 및 발표를 맡아서 할 수 있게 되고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일제잔재 청산 운동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친일 명단 발표가 오랫동안 왜곡되었던 역사를 바로 잡는 첫걸음인 만큼 많은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
‘친일행위자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이달 중 반민족 행위를 규정하는 범주 등에 대한 공청회를 2차례 정도 가질 계획이다. 더불어 모임에 소속된 여·야 의원들이 각 당의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한나라당에서도 일부 젊은 의원들이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다. 빠르면 4월 정기국회 때 입법안을 제출하여 특별법을 제정하도록 힘쓸 계획이다.
동국대 김진성 기자
02년 3월 14일 21:46
[출처; 유뉴스 www.u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