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 점거 단식농성 돌입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jok@minjok.c… 작성일02-08-29 00:00 조회1,50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동권연대, 국가인권위 점거 단식농성 돌입
이동권연대, 서울시 공개사과없이 살아?나가지 않겠다
참세상 뉴스
12일 오전 11시 장애인 이동권 연대의 휠체어 장애인 6명을 포함한 장애인 30여명이 서울시청옆 국가인권위원회 13층 위원장실을 점거하고, 오후 2시경 "발산역 리프트 장애인추락참사 서울시 공개사과 촉구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단식농성 돌입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한국 자립생활네트워크 최용기 대표는 "발산역 리프트 추락참사 서울시 공개사과 단식농성 기자회견문"을 발표하며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관한법률"에 규정된 "다른사람의 도움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권리"를 보장하지 못한 명백한 잘못임을 인정하고 450만 장애인 앞에 공개 사과 △서울시의 명의로 모든 신문일간지에 공개사과 광고 △장애인이 떨어져 죽거나 다치지 않게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엘리베이터를 설치 △"(가)저상버스도입을 위한 추진본부"를 설치"를 요구하였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 박경석 대표는 "발산역 지하철 리프트 추락사고에 대한 서울시의 공개사과를 국가인권위원회가 나서서 해결해 주기를 바라며 서울시의 공개사과 없이는 결코 살아서 나가지 않겠다"며 "이명박 서울시장은 장애인의 이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이제는 이 약속을 철저한 반성에서부터 실천 할 때"라고 밝혔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는 12일부터 이동권연대 박경석 대표(척수장애 1급), 인천비둘기사랑 윤은아씨(지체장애3급) 등 7명이 무기한 단식을 시작하고 1일 릴레이 지지단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동권연대는 지난 5일 발표된 "서울시 지하철 역사내 승강편의시설 안전관리 대책"을 "지하철 리프트 사고의 원인과 책임은 은폐한 채 몇몇 실효성 없는 미봉책으로 장애인들의 분노와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며 리프트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한 설치 이외의 어떠한 대책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휠체어리프트의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와 안전고리를 8월말까지 설치하고 리프트 이용안내문을 각 역사 곳곳에 부착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이동권연대는 "휠체어 리프트 사고는 리프트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하므로 안전밸트와 안전고리를 착용하기 전에 발생하며 따라서 안전벨트와 안전고리는 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이 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지난 발산역 추락 사망 사고도 리프트에서 내리다가 발생했었다.
또한 서울시의 또다른 안전대책인 "지하철 역무원에 대한 교육 강화, 장애인의 이용안내 업무를 우선 처리토록 근무지침 변경"에 대해 "리프트 사고는 기계가 가지고 있는 사고 가능성에서 기인하며 이용안내를 강화한다고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한 "과중한 노동강도에 시달리는 역무원에게 부수적인 업무를 부여하여 노동강도를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기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인력으로 조금이라도 막겠다는 의도가 있다면 기존 역무원의 노동강도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이용안내만을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새롭게 배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는 지난 29일 이명박 서울시장과의 면담에서 지하철 장애인 추락사건에 대해 일간지 공개사과를 요구했으나 30일 음성직 서울시청 교통관리실장은 농성 중단을 조건으로 시정신문을 통한 방식을 제안했다. 또한 같은 날 오전 장애인 버스타기 운동을 위해 시청구내식당을 나왔던 이동권연대는 오후 시청을 다시 방문하려 했으나 덕수궁 앞에서 전경 2백여명에 둘러싸여 저지당해 결국 진입에 실패했다.
한편, 이날 점거 이후 이동권 연대가 국가인권위 건물 옥상에서 내린 "서울시 공개사과하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무단 철거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현수막 거는 것은 막지 않기로 했으며, 건물주가 철거한 것 같으니 조사해보겠다"고 밝혔다.
[출처; 참세상 뉴스 8-12-02]
김미라(raise@jinbo.net)
이동권연대, 서울시 공개사과없이 살아?나가지 않겠다
참세상 뉴스
12일 오전 11시 장애인 이동권 연대의 휠체어 장애인 6명을 포함한 장애인 30여명이 서울시청옆 국가인권위원회 13층 위원장실을 점거하고, 오후 2시경 "발산역 리프트 장애인추락참사 서울시 공개사과 촉구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단식농성 돌입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 박경석 대표는 "발산역 지하철 리프트 추락사고에 대한 서울시의 공개사과를 국가인권위원회가 나서서 해결해 주기를 바라며 서울시의 공개사과 없이는 결코 살아서 나가지 않겠다"며 "이명박 서울시장은 장애인의 이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이제는 이 약속을 철저한 반성에서부터 실천 할 때"라고 밝혔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는 12일부터 이동권연대 박경석 대표(척수장애 1급), 인천비둘기사랑 윤은아씨(지체장애3급) 등 7명이 무기한 단식을 시작하고 1일 릴레이 지지단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동권연대는 지난 5일 발표된 "서울시 지하철 역사내 승강편의시설 안전관리 대책"을 "지하철 리프트 사고의 원인과 책임은 은폐한 채 몇몇 실효성 없는 미봉책으로 장애인들의 분노와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회피하기 위한 것이며 리프트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한 설치 이외의 어떠한 대책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휠체어리프트의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와 안전고리를 8월말까지 설치하고 리프트 이용안내문을 각 역사 곳곳에 부착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이동권연대는 "휠체어 리프트 사고는 리프트를 타고 내릴 때 발생하므로 안전밸트와 안전고리를 착용하기 전에 발생하며 따라서 안전벨트와 안전고리는 사고를 방지하는 대책이 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지난 발산역 추락 사망 사고도 리프트에서 내리다가 발생했었다.
또한 서울시의 또다른 안전대책인 "지하철 역무원에 대한 교육 강화, 장애인의 이용안내 업무를 우선 처리토록 근무지침 변경"에 대해 "리프트 사고는 기계가 가지고 있는 사고 가능성에서 기인하며 이용안내를 강화한다고 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또한 "과중한 노동강도에 시달리는 역무원에게 부수적인 업무를 부여하여 노동강도를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기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인력으로 조금이라도 막겠다는 의도가 있다면 기존 역무원의 노동강도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이용안내만을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새롭게 배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애인 이동권 연대는 지난 29일 이명박 서울시장과의 면담에서 지하철 장애인 추락사건에 대해 일간지 공개사과를 요구했으나 30일 음성직 서울시청 교통관리실장은 농성 중단을 조건으로 시정신문을 통한 방식을 제안했다. 또한 같은 날 오전 장애인 버스타기 운동을 위해 시청구내식당을 나왔던 이동권연대는 오후 시청을 다시 방문하려 했으나 덕수궁 앞에서 전경 2백여명에 둘러싸여 저지당해 결국 진입에 실패했다.
한편, 이날 점거 이후 이동권 연대가 국가인권위 건물 옥상에서 내린 "서울시 공개사과하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무단 철거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현수막 거는 것은 막지 않기로 했으며, 건물주가 철거한 것 같으니 조사해보겠다"고 밝혔다.
[출처; 참세상 뉴스 8-12-02]
김미라(raise@jinbo.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