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단체 동조 단식 돌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2-08-31 00:00 조회1,51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장애인 리프트 참사 서울시 공개사과 촉구
인권단체들이 장애인 이동권 투쟁에 힘을 보태기 위해 동조 단식에 들어갔다. 발 산역 리프트 추락참사에 대한 서울시장의 사과를 촉구하는 장애인들의 단식 농성 이 26일로 보름을 맞았다.
다산인권센터·국제민주연대·인권실천시민연대·인권운동사랑방·평화인권연대 등 5개 인권단체는 단식에 들어가기에 앞서 26일 아침 10시 국가인권위원회 11층 배움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측은 단식농성에 지쳐 가는 장애인들의 고통 을 외면한 채 "장애인전용 콜택시 도입"이라는 허구적인 대책을 내놓는 등 기만적 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라며 "발산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참사에 대해 공개 사과 하고 구체적인 장애인 이동권 대책을 마련하라"라고 서울시에 촉구했다.
다산인권센터의 송원찬 씨는 "지난 20일 인권단체가 기자회견을 한 후에도 서울시 측의 별다른 태도 변화를 볼 수 없었다"며 "이동권은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요한 인권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단체들의 적극적인 결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 다"라며 동조단식의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송 씨는 "다른 시민사회단체들도 이 문 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한다"는 바램을 나타냈다.
덧붙여 인권단체들은 "마지막 기대를 품고 찾아온 장애인들을 천덕꾸러기로 대하 는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해서도 유감을 느낀다"라며 "장애인들의 농성을 계기로 국 가인권위 전 건물에 "전자출입장치"의 설치를 추진하는 등, 장기농성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하는 것은 국민 인권신장의 보루로서 국가인권위원회가 보여야 할 태도가 아니"라고 비판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 지난 5월 19일 지하철 5호선 발산역 에서 발생한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며 "이번 주 내에 사 고발생 원인과 사고처리 과정 등을 조사하기 위해 현장검증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가인권위는 "최근 리프트 사고가 발생한 2호선 영등포구청역, 4호 선 혜화역·오이도역, 5호선 군자역, 7호선 고속터미널역 등 다른 전철역의 리프트 실태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애인이동권연대 박경석 공동대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늦었지만 지금 이라도 조사에 나서는 것이 다행"이라며 "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동권 확보를 위해 인권적 차원의 적극적 노력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주영]
인권단체들이 장애인 이동권 투쟁에 힘을 보태기 위해 동조 단식에 들어갔다. 발 산역 리프트 추락참사에 대한 서울시장의 사과를 촉구하는 장애인들의 단식 농성 이 26일로 보름을 맞았다.
다산인권센터·국제민주연대·인권실천시민연대·인권운동사랑방·평화인권연대 등 5개 인권단체는 단식에 들어가기에 앞서 26일 아침 10시 국가인권위원회 11층 배움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측은 단식농성에 지쳐 가는 장애인들의 고통 을 외면한 채 "장애인전용 콜택시 도입"이라는 허구적인 대책을 내놓는 등 기만적 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라며 "발산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참사에 대해 공개 사과 하고 구체적인 장애인 이동권 대책을 마련하라"라고 서울시에 촉구했다.
다산인권센터의 송원찬 씨는 "지난 20일 인권단체가 기자회견을 한 후에도 서울시 측의 별다른 태도 변화를 볼 수 없었다"며 "이동권은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요한 인권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단체들의 적극적인 결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 다"라며 동조단식의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송 씨는 "다른 시민사회단체들도 이 문 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한다"는 바램을 나타냈다.
덧붙여 인권단체들은 "마지막 기대를 품고 찾아온 장애인들을 천덕꾸러기로 대하 는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해서도 유감을 느낀다"라며 "장애인들의 농성을 계기로 국 가인권위 전 건물에 "전자출입장치"의 설치를 추진하는 등, 장기농성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하는 것은 국민 인권신장의 보루로서 국가인권위원회가 보여야 할 태도가 아니"라고 비판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 지난 5월 19일 지하철 5호선 발산역 에서 발생한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고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며 "이번 주 내에 사 고발생 원인과 사고처리 과정 등을 조사하기 위해 현장검증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가인권위는 "최근 리프트 사고가 발생한 2호선 영등포구청역, 4호 선 혜화역·오이도역, 5호선 군자역, 7호선 고속터미널역 등 다른 전철역의 리프트 실태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애인이동권연대 박경석 공동대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늦었지만 지금 이라도 조사에 나서는 것이 다행"이라며 "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동권 확보를 위해 인권적 차원의 적극적 노력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주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