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국민 앞에 직접 나서 사과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국민여론 작성일13-08-11 07:23 조회1,920회 댓글1건관련링크
본문
박 대통령, 국민 앞에 직접 나서 사과해야
3일 오후 6시, 서영교 의원의 호명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가 서울 청계광장에 설치된 무대에 올라 대형태극기를 펼쳤다. 지난달 31일,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의 '국정원 국정조사 무력화'에 반발해 서울광장에 천막당사를 치고 원내.외병행투쟁을 선언한 후 첫 대중집회에 나선 것이다.
민주당측은 이날 '민주주의 회복 및 국정원 개혁촉구 국민보고대회'에 1만 5천여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서울.경기 지역위원회 깃발을 든 민주당원들이 청계광장 들머리에서 모전교까지 오른편 통로를 메웠으며, 소속 의원 112명(전체 127명)이 출석했다. 인근 건물 공터와 골목에는 일반 참가자들이 빼곡했다.
원외투쟁을 직접 이끌고 있는 김한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은 이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성역 없는 책임자 처벌, 국민과 국회에 의한 국정원 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국민 앞에 천명해야 한다"고 했으며 "사과할 일이 있으면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나서서 솔직하게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박정희 시대의 중앙정보부 정치가 다시 부활하는 것이 아닌가 걱정하는 분들이 많"다며 오전에 제안한 박 대통과의 조건없는 단독회담을 거듭 촉구했다.
시인인 도종환 의원은 "벼랑 끝에서도 희망은 있는 것"이라고 참가자들을 다독였다.
원내대책을 책임지고 있는 전병헌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핵심증인을 빼돌려가며 아예 국정조사의 판을 깨버리겠다고 협박하고 있다"며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를 '핵심증인'이라고 지목했다.
전 원내대표는 "첫째 진상규명, 둘째 책임자 처벌, 셋째 국정원 개혁, 그리고 대통령이 사과하는 것"이라고 요구사항을 정리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요구한다"며 "대통령이 이미 밝힌 것처럼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의 불법 공작의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고 전혀 부끄러움이 없다면, 남재준 국정원장을 즉각 해임하고 국정조사를 정상화 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했다.
새누리당이 야당.시민사회단체의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진상규명' 요구를 '대선불복'으로 몰아가는 데 대해서는 "민주당은 지난 대선결과에 승복한다고 이미 여러 차례 밝혀왔다. 그러나 박근혜 새누리당 정권이 저지른 민주주의 파괴행위까지 용납할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민주당은 이날 집회에서 '대선불복'으로 비춰질 수 있는 주장을 금지했다. 핵심구호는 "대선불법개입 국정원 개혁하라", "책임자를 처벌하라", "박 대통령 사과하라"로, 손팻말도 '국정원 개혁', 책임자 처벌'로 통일했다. 집회 도중 일부 참가자들이 당 지도부에 보다 적극적인 대정부 투쟁을 요구했으나 주변 당원들의 제지로 진압되는 광경도 눈에 띄었다.
이미경 의원을 비롯한 여성의원들은 '아침이슬', '일어나', '상록수'를 부르며 집회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국민앵커' 신경민 의원은 "억지를 억지로, 불법을 불법으로, 국기문란을 국기문란으로 막고 있다"고 새누리당의 국정조사 무력화 공작을 꼬집은 뒤, "대통령은 침묵할 권리가 없다"며 박 대통령이 나서서 진실을 밝히고 사과하라고 '클로징 멘트'를 날렸다.
오후 7시부터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시국회의'가 주최하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규탄 5차 국민촛불대회'가 이어졌다. 예고한 대로 민주당원들은 깃발을 내리고 개인 자격으로 촛불문화제에 합류했다. 구호도 '국정원 개혁'에서 '국정원 해체'로 바뀌었다. 오는 15일로 시한이 다가온 국정조사 기간 연장도 요구했다.
오후 7시 30분 현재, 일기예보와는 달리 비가 오지 않으면서 촛불문화제 참가자수가 늘고 있다. 경찰은 광화문 4거리와 종로쪽 통행로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하고 병력을 집중 배치했다. 청계광장 왼편 마저 '우수중소기업 홍보판매전' 행사로 차단돼 있어, 동아일보사와 서울파이낸스센터 사이 청계광장 들머리는 일시에 밀려든 인파로 인해 통행이 어려운 상황이다.
3일 오후 6시, 서영교 의원의 호명에 따라 민주당 지도부가 서울 청계광장에 설치된 무대에 올라 대형태극기를 펼쳤다. 지난달 31일,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의 '국정원 국정조사 무력화'에 반발해 서울광장에 천막당사를 치고 원내.외병행투쟁을 선언한 후 첫 대중집회에 나선 것이다.
민주당측은 이날 '민주주의 회복 및 국정원 개혁촉구 국민보고대회'에 1만 5천여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서울.경기 지역위원회 깃발을 든 민주당원들이 청계광장 들머리에서 모전교까지 오른편 통로를 메웠으며, 소속 의원 112명(전체 127명)이 출석했다. 인근 건물 공터와 골목에는 일반 참가자들이 빼곡했다.
원외투쟁을 직접 이끌고 있는 김한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은 이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성역 없는 책임자 처벌, 국민과 국회에 의한 국정원 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국민 앞에 천명해야 한다"고 했으며 "사과할 일이 있으면 대통령이 직접 국민 앞에 나서서 솔직하게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박정희 시대의 중앙정보부 정치가 다시 부활하는 것이 아닌가 걱정하는 분들이 많"다며 오전에 제안한 박 대통과의 조건없는 단독회담을 거듭 촉구했다.
시인인 도종환 의원은 "벼랑 끝에서도 희망은 있는 것"이라고 참가자들을 다독였다.
원내대책을 책임지고 있는 전병헌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핵심증인을 빼돌려가며 아예 국정조사의 판을 깨버리겠다고 협박하고 있다"며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를 '핵심증인'이라고 지목했다.
전 원내대표는 "첫째 진상규명, 둘째 책임자 처벌, 셋째 국정원 개혁, 그리고 대통령이 사과하는 것"이라고 요구사항을 정리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요구한다"며 "대통령이 이미 밝힌 것처럼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의 불법 공작의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고 전혀 부끄러움이 없다면, 남재준 국정원장을 즉각 해임하고 국정조사를 정상화 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했다.
새누리당이 야당.시민사회단체의 '국정원 불법대선개입 진상규명' 요구를 '대선불복'으로 몰아가는 데 대해서는 "민주당은 지난 대선결과에 승복한다고 이미 여러 차례 밝혀왔다. 그러나 박근혜 새누리당 정권이 저지른 민주주의 파괴행위까지 용납할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민주당은 이날 집회에서 '대선불복'으로 비춰질 수 있는 주장을 금지했다. 핵심구호는 "대선불법개입 국정원 개혁하라", "책임자를 처벌하라", "박 대통령 사과하라"로, 손팻말도 '국정원 개혁', 책임자 처벌'로 통일했다. 집회 도중 일부 참가자들이 당 지도부에 보다 적극적인 대정부 투쟁을 요구했으나 주변 당원들의 제지로 진압되는 광경도 눈에 띄었다.
이미경 의원을 비롯한 여성의원들은 '아침이슬', '일어나', '상록수'를 부르며 집회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국민앵커' 신경민 의원은 "억지를 억지로, 불법을 불법으로, 국기문란을 국기문란으로 막고 있다"고 새누리당의 국정조사 무력화 공작을 꼬집은 뒤, "대통령은 침묵할 권리가 없다"며 박 대통령이 나서서 진실을 밝히고 사과하라고 '클로징 멘트'를 날렸다.
오후 7시부터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시국회의'가 주최하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규탄 5차 국민촛불대회'가 이어졌다. 예고한 대로 민주당원들은 깃발을 내리고 개인 자격으로 촛불문화제에 합류했다. 구호도 '국정원 개혁'에서 '국정원 해체'로 바뀌었다. 오는 15일로 시한이 다가온 국정조사 기간 연장도 요구했다.
오후 7시 30분 현재, 일기예보와는 달리 비가 오지 않으면서 촛불문화제 참가자수가 늘고 있다. 경찰은 광화문 4거리와 종로쪽 통행로에 폴리스라인을 설치하고 병력을 집중 배치했다. 청계광장 왼편 마저 '우수중소기업 홍보판매전' 행사로 차단돼 있어, 동아일보사와 서울파이낸스센터 사이 청계광장 들머리는 일시에 밀려든 인파로 인해 통행이 어려운 상황이다.
댓글목록
북유럽님의 댓글
북유럽 작성일
박그네는 대통령이 아니다.
왜 대통령이라고 하는가
그리고 야는 벙어리다.
말못하는 벙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