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들의 조선에 대한 인식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론조사 작성일13-08-10 08:36 조회1,64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북한에 대한 국민들의 부정적 인식이 올해 들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전국 16개시도 만19세이상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발표한 '2013년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남북관계에서 어떠한 대상인가'라는 질문에 '협력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50.5%에서 40.4%로 약 10%이상 감소했다.
반면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10.9%에서 올해 16.4%로 상승했다. '경계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21.3%에서 올해 21.2%로 비슷했다.
이 질문의 경우 특히 20대 청년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대의 경우 '경계대상(23.2%)'과 '적대대상(20.0%)'을 합한 부정적 답변에 대한 응답 비율이 절반에 가까운 43.2%를 차지한 반면 30대는 35.6%, 40대는 35.1%, 50대 이상은 37.3%를 차지했다.
특히 '적대대상'이라고 답한 응답 비율 중 20대가 가장 높은 비율(20.0%)을 차지했다. 30대가 17.1%, 40대가 15.1%, 50대 이상이 14.6%였다.
또 '최근 몇년간 북한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라는 질문에 약 64.3%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53.2%)에 비해 10%이상 상승한 수치다.
'북한 정권은 앞으로 안정될 것이다'라는 질문에는 약 12.9%가 '동의한다'고 응답해 이 역시 지난해(15.1%)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50.9%)에서 올해 57.1%로 다소 상승했다.
'북한이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다'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비율(56.9%) 역시 지난해(47.3%)에 비해 상승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이같은 결과에 대해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정전협정 무효화 선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 철수 등 올해 들어 북한의 잇따른 도발적 행위가 국민들의 대북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같은 맥락에서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역시 감소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지난해 59.1%에서 올해 54.0%로 줄었다.
'통일이 남한에 이익될 것이다'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 역시 지난해 51.6%에서 올해 48.9%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돼야 한다고 답한 이유도 지난해에 비해 변했다.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에 응답한 비율이 지난해 45.9%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 반면 올해 이 질문에 응답한 비율은 40.3%에 그쳤다.
'전쟁방지를 위해'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오히려 지난해 25.3%에서 올해 30.8%로 상승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이에 대해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짐에 따라 전반적 안보위기 해소와 한반도 평화유지가 더욱 시급한 과제로 간주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에 높은 지지
국민들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높은 지지를 보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76.0%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라고 답한 응답 비율은 지난해 34.3%에서 올해 52.3%로 급격히 상승했다.
이는 근본적으로는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에 대한 반사적 이익이지만 개성공단과 남북협상에서 박근혜 정부가 보여준 태도에 대한 지지로도 해석된다.
개성공단을 유지해야 한다는 국민 의식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약간의 희생을 치르더라도 개성공단은 유지돼야 한다'에 50.4%의 응답자가 찬성했다. 지난해 찬성 비율인 45.7%에 비해 다소 상승한 수치다.
또한 대북정책의 우선과제에 대해서는 '북한 핵 중단을 위한 국제협력'이 25.6%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었다. 이어 '북한 개방 및 인권신장(25.2%)', '남북한 긴장해소와 교류협력(17.4%)', '평화협정체결(17.2%)', '적극적인 통일정책과 통일재원준비(11.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도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라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2.3%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입장을 유보한 사람은 27.8%, 반대는 19.8%에 달했다.
중국 국가 이미지에 대한 국민 인식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국가의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는 43.9%의 응답자가 '경쟁대상'이라고 답했다. '경계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5.3%, '협력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22.4%를 차지했다. '적대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2%였다.
'남북관계 악화에 중국의 책임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지난해 60.6%에서 올해 58.3%로 다소 하락했다. 또한 '중국이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다'라는 질문에는 지난해 30.5%에서 올해 21.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이 보여준 국제공조의 모습과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방문 성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가 이번에 조사한 '통일의식조사'는 2007년부터 매년 실시돼오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연구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7월 1일부터 19일까지 1 대 1 면접조사로 실시됐다. 표본 오차는 ± 2.8%, 신뢰수준은 95%다.
한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2013 통일의식조사'의 종합적 분석결과를 오는 9월 26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8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전국 16개시도 만19세이상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발표한 '2013년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남북관계에서 어떠한 대상인가'라는 질문에 '협력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50.5%에서 40.4%로 약 10%이상 감소했다.
반면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10.9%에서 올해 16.4%로 상승했다. '경계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21.3%에서 올해 21.2%로 비슷했다.
이 질문의 경우 특히 20대 청년들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대의 경우 '경계대상(23.2%)'과 '적대대상(20.0%)'을 합한 부정적 답변에 대한 응답 비율이 절반에 가까운 43.2%를 차지한 반면 30대는 35.6%, 40대는 35.1%, 50대 이상은 37.3%를 차지했다.
특히 '적대대상'이라고 답한 응답 비율 중 20대가 가장 높은 비율(20.0%)을 차지했다. 30대가 17.1%, 40대가 15.1%, 50대 이상이 14.6%였다.
또 '최근 몇년간 북한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라는 질문에 약 64.3%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53.2%)에 비해 10%이상 상승한 수치다.
'북한 정권은 앞으로 안정될 것이다'라는 질문에는 약 12.9%가 '동의한다'고 응답해 이 역시 지난해(15.1%)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에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50.9%)에서 올해 57.1%로 다소 상승했다.
'북한이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다'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한 비율(56.9%) 역시 지난해(47.3%)에 비해 상승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이같은 결과에 대해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정전협정 무효화 선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 철수 등 올해 들어 북한의 잇따른 도발적 행위가 국민들의 대북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같은 맥락에서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역시 감소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지난해 59.1%에서 올해 54.0%로 줄었다.
'통일이 남한에 이익될 것이다'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 역시 지난해 51.6%에서 올해 48.9%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돼야 한다고 답한 이유도 지난해에 비해 변했다.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에 응답한 비율이 지난해 45.9%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 반면 올해 이 질문에 응답한 비율은 40.3%에 그쳤다.
'전쟁방지를 위해'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오히려 지난해 25.3%에서 올해 30.8%로 상승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이에 대해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짐에 따라 전반적 안보위기 해소와 한반도 평화유지가 더욱 시급한 과제로 간주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에 높은 지지
국민들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높은 지지를 보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76.0%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만족한다'라고 답한 응답 비율은 지난해 34.3%에서 올해 52.3%로 급격히 상승했다.
이는 근본적으로는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에 대한 반사적 이익이지만 개성공단과 남북협상에서 박근혜 정부가 보여준 태도에 대한 지지로도 해석된다.
개성공단을 유지해야 한다는 국민 의식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약간의 희생을 치르더라도 개성공단은 유지돼야 한다'에 50.4%의 응답자가 찬성했다. 지난해 찬성 비율인 45.7%에 비해 다소 상승한 수치다.
또한 대북정책의 우선과제에 대해서는 '북한 핵 중단을 위한 국제협력'이 25.6%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었다. 이어 '북한 개방 및 인권신장(25.2%)', '남북한 긴장해소와 교류협력(17.4%)', '평화협정체결(17.2%)', '적극적인 통일정책과 통일재원준비(11.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도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라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2.3%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입장을 유보한 사람은 27.8%, 반대는 19.8%에 달했다.
중국 국가 이미지에 대한 국민 인식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국가의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는 43.9%의 응답자가 '경쟁대상'이라고 답했다. '경계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5.3%, '협력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22.4%를 차지했다. '적대대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3.2%였다.
'남북관계 악화에 중국의 책임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지난해 60.6%에서 올해 58.3%로 다소 하락했다. 또한 '중국이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다'라는 질문에는 지난해 30.5%에서 올해 21.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이 보여준 국제공조의 모습과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방문 성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가 이번에 조사한 '통일의식조사'는 2007년부터 매년 실시돼오고 있다. 이번 조사는 연구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7월 1일부터 19일까지 1 대 1 면접조사로 실시됐다. 표본 오차는 ± 2.8%, 신뢰수준은 95%다.
한편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소는 '2013 통일의식조사'의 종합적 분석결과를 오는 9월 26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