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 7년 만에 실태조사 나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향신문 작성일2012-07-17 23:07 조회2,30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서울시교육청, 이사장 급여 등 문제 있을 땐 검찰 고발
송현숙
서울시교육청이 오는 26일부터 정수장학회 실태조사를 한다. 정수장학회 조사는 2005년 이후 7년 만이다. 정수장학회는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1995~2005년 이사장을 맡았던 곳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15일 “6월까지 산하 1120여개 등록법인의 결산서를 검토한 결과 정수장학회를 비롯한 10개 법인의 실태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예비조사에서 본조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 만큼 정수장학회의 최종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는 한두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조사 결과 문제점이 확인되면 시정조치와 함께 검찰 고발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정수장학회는 2005년 이후 별다른 조사를 받지 않았다.
서울시교육청은 정수장학회가 장학금 지급을 비롯한 목적사업과 기본재산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중점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최필립 이사장을 비롯한 법인 임원진의 급여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올 초 상속 및 증여세법 시행령이 개정돼 공익법인 이사장의 연 급여는 8000만원을 넘지 못하게 돼 있다.
전국언론노조와 정수장학회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2월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의 보수 지급과 관련한 감사청구와 설립허가 취소를 시교육청에 신청했다.
언론노조는 “시교육청이 2005년 감사에서 정수장학회가 박 전 이사장에게 과다한 보수(1억3200만원)를 지급했다고 지적했으나 최 이사장의 2010년 급료는 1억7000여만원으로 더 올랐다”고 밝혔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5·16쿠데타 이후 부산지역 기업인 고 김지태씨(전 부산일보 사장)가 보유했던 부일장학회를 강제로 빼앗았다.
이후 5·16장학회로 운영되다가 박 전 대통령과 부인 육영수 여사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 정수장학회로 이름을 바꿨다.
최필립 이사장은 1979년 10·26 직전까지 청와대 의전비서관을 맡아 박근혜 전 위원장을 보좌했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의원 17명은 지난 12일 정수장학회를 사회에 환원하는 내용의 특별법을 공동 발의했다
<경향신문=송현숙 기자>
기사입력: 2012/07/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