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끝난 후 시민 및 관계자들이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장유강 통신원] |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렸다.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5·18정신이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광주 현지 분위기는 박 대통령이 밝힌 ‘생각’과 많이 달랐다. 오히려 “국가에 의해 5·18정신이 왜곡되고, ‘국민통합, 국민행복’은 어디에서고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게 광주시민들의 반응이다.
| |
 |
|
| ▲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장면이 행사장 밖에 설치된 대형 영상장치에 표출되자 묘역을 찾은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장유강 통신원] |
실제로 이날 기념식에는 5월 단체, 광주지역 시민단체, 광주시의회 등이 불참하면서 ‘반쪽 기념식’으로 진행됐다. 또 ‘임을 위한 행진곡’의 합창공연을 거부한 광주시립합창단 대신 인천오페라합창단이 부랴부랴 기념식에 합류하는 촌극도 벌어졌다.
이는 1980년 5·18 당시부터 시민들에 의해 불려진 ‘임을 위한 행진곡’을 국가보훈처가 5·18기념식 공식지정곡으로 선정하느냐 마느냐를 두고 ‘정치적 거래를 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화를 자초했다는 것.
박 대통령은 이어진 기념사를 통해 “33년의 긴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마음의 슬픔을 지우지 못하고 계신 유가족과 광주시민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오월영령들께서 남기신 뜻을 받들어 보다 더 성숙한 민주주의를 만드는 것이 희생과 아픔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정부는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는 말도 덧붙였다.
반면, 통합진보당, 광주전남진보연대, 시민사회단체, 5월 단체 등은 국립5·18민주묘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망월동 옛 5·18묘역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대회’와 함께 별도의 5·18기념식을 가졌다.
| |
 |
|
| ▲ 국립5·18민주묘지 입구 ‘민주의 문’ 앞에서 5·18유족회원 등 5월 단체 관계자들이 기념식장 입장을 거부한 채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기념식에서 다함께 부를 수 있도록 해달라”며 농성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장유강 통신원] |
국립5·18민주묘지 입구인 ‘민주의 문’ 앞에서는 5·18유족회원 등 5월 단체 관계자들이 기념식장의 입장을 거부한 채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기념식에서 다함께 부를 수 있도록 해달라”며 연좌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