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절명시 남기고 동해에 투신 순국 > 민족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2025년 11월 4일
영문뉴스 보기
최신게시글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민족게시판

‘독립’ 절명시 남기고 동해에 투신 순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병부 작성일2014-03-22 12:26 조회1,599회 댓글0건

본문

‘독립’ 절명시 남기고 동해에 투신 순국

1월의 독립운동가 김도현 (1852. 7. 14 ~ 1914. 12. 23)

나라사랑신문  |  news@narasarang.kr
 
김도현 선생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이 시행됨에 따라 영양지역 유생들과 의병을 일으킬 일을 논의했으며, 이듬해 2월 청량산에서 의병진용을 편성해 무기를 조달하고 의병을 모집했다.

선생은 의병부대의 통합을 시도해 자신의 부대를 예안의 의병부대인 선성의진에 합류시켜 중군장을 맡게 됐고, 경북지역 7개 의병부대의 대표들과 함께 회맹의식을 갖고 승리를 기원했다. 1896년 3월 연합의진은 상주 태봉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병참부대를 공격해 상당한 전과를 거뒀다.

1896년 6월에는 민용호가 이끌던 강릉의진과 연합, 강릉 대공산성, 보현산성 및 삼척전투에서 관군에 대항해 전투를 벌였다. 이후 선생은 선유어사의 권유를 받고 1896년 10월 15일 전기의병에서 마지막으로 의병부대를 해산했다.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고 외교권이 박탈되자 선생은 을사5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고, 여러 나라 공사관에 ‘포고서양각국문’을 보내 일제의 전횡을 막는데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상소투쟁이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1906년 1월 선생은 다시 한 번 투쟁할 것을 각오하고 포군 5~60명을 축으로 의병을 일으켰으며, 광무황제의 밀칙을 받고 삼남지역의 각 군에 ‘의격고삼남각군문’ 등을 보내 의병 궐기를 촉구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 스승 이만도가 순국하자 선생은 최후의 방법으로 도해순국을 결심하였다. 1914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동포들에게 드리는 글’과 절명시를 남기고, ‘치명수지’의 길을 선택해 경북 영덕의 동해바다에서 투신 순국했다.

정부는 1962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출처 <저작권자 © 나라사랑신문

http://www.narasarang.kr/news/articleView.html?idxno=27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민족TV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21세기
러시아 투데이
전략문회재단
글로벌 리서치
운츠
요람
재미동포전국연합회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