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American Orgnization Submit A Petition To U.N > United States

본문 바로가기
영문뉴스 보기
2025년 9월 26일
남북공동선언 관철하여 조국통일 이룩하자!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United States

Korean-American Orgnization Submit A Petition To U.N

페이지 정보

작성자 SPARK 작성일10-06-16 22:33 조회436회 댓글0건

본문

Letter To U.N. Security Council


This letter and the attached document are written in the hope that the Cheonan incident be discussed in a fair and objective process by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he people of Korea who long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hope that the Council"s discussion of this matter would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MAGE##> We sincerely hope that this attached document would help your country"s grasping of the true story of the Cheonan incident during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s discussion.

This letter and the attached document were co-written by the well known peace group in Korea,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SPARK) and NODUTDOL(Young Korean- Americans in New York) New York"s Korean youth group.
We are looking forward to increasing peace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globe by the council"s discussion of this matter.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SPARK)

NODUTDOL(Young Korean- Americans in New York)

Dear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UN) Security Council,

1. South Korea’s Lee Myung-bak administration has determined that the 1300-ton patrol boat Cheonan (PCC-722), which sank in the western sea of Korea on March 26, 2010, was sunk by a torpedo attack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and requested, on June 4, a discussion on this matter with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 South Korea’s opposition party, civic organizations, and civilian experts, however, continue to raise opposing theories and questions regarding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imed the announcement of its investigation results to influence the recent regional elections in South Korea, and escalated the threat of war. However,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came out in support of the opposition party, which called for peace, and clearly expressed its opposition to the confrontational anti-North policie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ose who questio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investigation results asserting that with its outdated equipment North Korea was able to permeate South Korean waters during military exercises of the South Korea-U.S. Combined Forces with its state of the ar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equipment, smash the Cheonan in two, and disappear undetected, evades common sense. They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he assertion of a torpedo attack, and point out that had a bubble jet torpedo exploded within three meters of the Cheonan, the Cheonan should have been studded with torpedo fragments, the officers aboard the Cheonan should have been found with exploded eardrums and other internal organs, as well as bone fractures, and masses of dead fish should have been found afloat near the site of the incident, but the investigation found none of these.

South Korean civilian experts assert that grounding, as South Korean military authorities first reported immediately after the incident, was the primary cause of the Cheonan’s sinking. They point to a section of the Cheoan that appears to have been torn off, scratches on the side of the Cheonan, and a screw bent inward on the right side as evidence of grounding.

3. Eve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 South Korean government agency, revealed that the South Korean military and the Defense Department engaged in cover-up and fabrication regarding the Cheonan incident. According to the audit findings, to cover up the truth of the incident, the South Korean military hid a thermal observation device (TOD) video that shows the Cheonan’s movements at the time of the incident, the South Korean military’s Joint Chiefs of Staff did not disseminate alerts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incident, and th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was drunk at the time of the incident and abandoned the command and control center.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Joint Chiefs of Staff intentionally omitted the Navy Operation Headquarters’ report of hearing an external explosion in its own report to the Defense Minister. It also revealed that the Defense Department had lied about having formed an emergency management team when it actually had not. If the Cheonan had indeed been sunk by an attack from North Korea, a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maintains, such actions among South Korea’s top executives are shamefully irresponsible.

4. The western sea of Korea where the Cheonan sank is a highly militarized region where multiple military conflicts have occurred between north and south in the past, and a U.S. nuclear submarine collided with a fishing vessel during joint military exercises with the South Korean military in 2002.

Suspicions that Cheonan also collided with a U.S. submarine are prevalent. On March 26, when the Chonean sank, South Korea-U.S. Combined Forces engaged in a large scale naval exercise, including an anti-sub warfare exercise, near the site of the incident.

U.S. State Secretary Hillary Clinton timed her visit to Japan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nnouncement of the Cheonan investigation results, and succeeded in getting the Hatoyama administration’s surrender regarding the Funtenma Airport, which had been a contentious issue. The United States is also using the Cheonan incident as an excuse for more South Korea-U.S. joint military exercises and continues to threaten China. Among South Korean people, many convincingly point out that the country that gained the most from this incident is the United States.

5.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ccused of attacking the Cheonan, has completely deni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ssertion and continues to demand that South Korea accept its proposal to dispatch its own inspection team. It has been reported that North Korea has sent a letter to the Chair of the UN Security Council saying that its own National Defense Commission inspection team must be able to confirm South Korea’s investigation results before any discussion about the Cheonan at the UN Security Council.

6. It has been reported that China, the Chair of the Six Party Talks, has emphasized the need for a scientific and objective investigation and has proposed a four-party investiga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ngil News, May 28, 2010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407)

7.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Russian experts who visited South Korea to inspect South Korea’s Cheonan investigation results, determined that based on the investigation findings,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at North Korea is responsible.” (Yonhap News, June 9, 2010 -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b%9f%ac%ec%8b%9c%ec%95%84%20%ec%a1%b0%ec%82%ac%eb%8b%a8&contents_id=AKR20100609233200080)

8. In this way, relevant parties differ in their opinion on the cause of the Cheonan’s sinking.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hould the UN Security Council discuss the Cheonan matter, its first step should be to uncover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the cause of the incident. Should the UN Security Council, without a scientific and objective basis, adopt a resolution or issue a Chairman’s Statement denouncing North Korea for the widely disputed, sinking of the Cheonan, it will seriously put into question its ability to be fair and evenhanded, rather it will undermin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st of the world. This contradicts the UN’s basic role and responsibility to work towards global peace.

9. Therefore, we respectfully request the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to handle the matter of the Cheonan with fairness and objectivity.

10. The South Korean people firmly oppose any action that leads to or escalates the possibility of a military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11.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lived under constant military tension and threat of conflict in a long-term state of ceasefire and acute military confrontation.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sinking of the Cheonan is the sixty-year old armistice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sea borders are not even clearly delineated, and the unresolved confrontational relation keeps go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us, in order to ensure that another incident like the Cheonan does not recur in the future, and to realize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United States,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etc., must conclude a Peace Treaty and resolve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 among the parties through international law.
Therefore, we call on the UN Security Council to not only resolve the matter of the Cheonan fairly but also work towards the realization of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will legally ensur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contribute to global peace.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에 드립니다.

1. 대한민국(한국)의 이명박 정부가 2010년 3월 26일 밤 한국 서해에서 발생한 1300톤급 초계함인 천안함(PCC-772)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의 어뢰공격에 의해 침몰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6월 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이 사건에 대한 논의를 요청했습니다.

2. 그러나 한국의 야당과 수많은 시민사회단체, 민간 전문가들이 이명박 정부의 조사 결과에 대해 반론과 문제제기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지방선거 일정에 맞추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남북 대결정책을 쏟아내 이를 선거에 이용하려고 하였지만 이로 인해 전쟁의 위기가 높아지자 한국민은 한반도 평화를 강조하는 야당에 더 많은 지지를 보냄으로써 이명박 정부의 반북 대결정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명박 정부의 발표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낙후한 장비를 보유한 조선이 최첨단 감시정찰장비를 보유한 한미 연합군이 훈련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삼엄한 감시망을 뚫고 감쪽같이 한국의 해역에 침투하여 천안함을 두 동강 내고 사라졌다는 주장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이명박 정부의 발표대로 조선의 버블제트 어뢰가 천안함 3m 근접거리에서 폭발했다면 천안함에 무수히 박혀 있어야 할 어뢰 파편을 찾을 수 없고, 천안함 승선 장병에게서 어뢰 공격의 경우 발생하는 고막이나 장기 파열, 골절상 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량의 물고기 사체가 떠오르지 않았다는 점 등을 들면서 어뢰 공격 주장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민간 전문가들은 한국 군 당국이 초기에 보고한 대로 좌초가 천안함 침몰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뜯긴 것으로 보이는 천안함 절단면의 상태나 옆면의 스크래치, 오른쪽 스크루가 안쪽으로 휘어진 점 등을 좌초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3. 한국 정부 기관인 감사원조차 한국군과 국방부가 천안함 사건에 대해 은폐와 조작을 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군은 사건의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사고를 전후한 시간의 천안함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열상관측장비(TOD) 동영상을 숨겼고, 한국군 합동참모본부는 ‘긴급 상황’을 아예 전파조차 하지 않았으며 합참의장은 술을 먹은 상태에서 국방부 지휘통제실을 비운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합참은 외부 폭발음을 들었다는 해군작전사령부의 보고를 국방장관 보고 때 삭제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방부는 ‘위기관리반’을 소집하지 않고도 소집한 것으로 거짓말한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이는 이명박 정부의 주장대로 천안함이 정말로 조선의 공격에 의해 격침되었다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한국군 수뇌부의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 수 없습니다.

4. 천안함 침몰사건이 일어난 서해는 군사적 밀집도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서 이전에도 여러 차례 남북 사이의 군사적 충돌이 일어났을 뿐만 아니라 2002년 미군 핵잠수함이 한국군과 연합훈련 중에 어선과 충돌사고를 내기도 한 지역입니다.

천안함도 미군 잠수함과 충돌한 것이라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천안함이 침몰하던 3월 26일 한미연합군은 사고 인근 해역에서 대잠수함훈련 등 대규모 해상훈련을 벌였습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한국 정부의 천안함 사건 조사결과 발표 시점에 맞춰 일본을 방문하여 쟁점으로 남아있던 후텐마 비행장문제에 대해 하토야마 정부의 굴복을 받아냈습니다. 또 천안함 사건을 빌미로 한 서해의 한미연합군사훈련 등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민들 사이에서 이번 사건으로 가장 큰 이익을 본 나라가 바로 미국이라는 얘기가 설득력 있게 나돌고 있습니다.

5. 천안함 공격의 당사자로 지목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은 한국 정부의 주장을 전면 부인하면서 한국이 자국의 검열단 파견 제안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선은 유엔 안보리의 천안함 사건 논의에 앞서 자체 국방위원회 검열단의 조사 결과 확인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안보리 의장 앞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6. 6자회담 의장국인 중화인민공화국(중국)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강조하면서 한국과 조선, 중국과 미국이 참가하는 4개국 공동조사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통일뉴스 2010. 5. 28,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407)

7. 천안함 침몰 사건의 한국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를 검토하기 위해 방한했던 러시아연방 전문가들도 천안함 침몰 사건 조사결과에 대해 "북한의 범행이라 단정짓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연합뉴스 2010. 6. 9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
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b%9f%ac%ec%8b%9c%ec%95%84%20%ec%a1
%b0%ec%82%ac%eb%8b%a8&contents_id=AKR20100609233200080))


8. 이처럼 천안함 침몰사건의 원인에 대해 관련 당사자들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엔 안보리가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해 논의하려면 먼저 사건의 원인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밝히는 것이 당연한 순서입니다. 만약 유엔 안보리가 사실관계에 대해 논란이 큰 천안함 사건에 대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 없이 조선을 비난하는 결의나 의장성명 등을 채택한다면 유엔 안보리 결정의 공정성은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며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해치는 결과를 빚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유엔의 역할과 임무를 훼손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9. 이에 우리는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이 천안함 사건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다뤄 줄 것을 요청합니다.


10. 대한민국 국민 모두는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을 일으키거나 이를 부추기는 행동을 단호히 반대합니다.


11. 한반도에 사는 민중들은, 정전상태와 첨예한 군사적 대결 속에서, 항상적으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위험을 감수하며 살아왔습니다. 이번 천안함 침몰 사건도 바로 경계선조차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반도 정전협정이 60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조선과 미국, 한국과 조선 사이의 적대관계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 근본 원인이 있습니다. 따라서 천안함 사건과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고 한반도에 공고한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미국과 조선, 한국 등이 당사자로 참여하는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여 관련 당사국 사이의 적대관계를 국제법적으로 완전히 청산해야 합니다.

이에 우리는 유엔 안보리가 천안함 문제를 공정하게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한반도 평화협정 실현을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이는 한반도의 평화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일이자 세계 평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영문자료는 위를 보세요)

2010. 6. 15.

노둣돌,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부고]노길남 박사
노길남 박사 추모관
조선문학예술
조선중앙TV
추천홈페이지
우리민족끼리
자주시보
사람일보
재미동포전국연합회
한겨레
경향신문
재도이췰란드동포협력회
재카나다동포연합
오마이뉴스
재중조선인총련합회
재오스트랄리아동포전국연합회
통일부


Copyright (c)1999-2025 MinJok-TongShin / E-mail : minjoktongshin@outlo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