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주권지수(GSI)변화없이 한국미래 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3-12-03 15:38 조회9,337회 댓글4건관련링크
본문
국제사회에 지능지수(IQ), 정서지수(EQ),불쾌지수, 경제에서 주식가를 표시하는 주가지수등 각종 지수들은 있으나 ‘주권지수’라는 말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사전에도 ‘주권지수’라는 어휘가 안보인다. 그리고 인터네트 검색을 통해서 ‘야후(Yahoo)’ 혹은 ‘구글(Google)’에서도 '주권지수’라는 말과 그 수치를 찾아 볼 수 없다. 다시말하면 아직까지 ‘주권지수’에 관한 연구가 보편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지수를 연구하는 것은 강대국들에게 별로 흥미를 자아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서 나는 주권지수(Sovereignty Index=SI), 즉 그 나라가 얼마나 자주적 지향이 크며, 정치, 경제, 외교, 군사, 교육, 사회, 문화, 보건, 철학, 언론 분야에서 자주권을 지향하고 있으며 동시에 주체적 성향을 강조하고 있느냐의 정도가 얼마나 되느냐를 측정한 지표를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주권지수에 관련한 위의 세부항목들, 즉 10개 분야를 각각 쪼개서 한분야를 5등급으로 나눠 각 분야의 수치를 2, 4, 6, 8,10점(Point)으로 설정하여 놓고 다음과 같은 수준과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겨 보았다.
"아주 자주적이다"는 평가에는 10점으로 설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우선 6자회담에 참가하고 있는 나라들의 주권지수를 진단하여 보았다. 주권지수의 10개항목 평균지수 혹은 균형지수는60점으로 나타났다. 각 나라의 주권 지수가60점 이하가 되면 그 나라의 전반적 사정은 큰 나라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 수준이거나, 혹은 준식민지, 식민지 형편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 주권지수를 10개분야로 나눠 분석하고 그 각개의 주권수치를 모두 합친 종합주권지수(GSI)는 다음과 같은 수치로 나타난다.
조선(북한): 90점,
러시아: 88점,
중국: 84점,
미국: 80점,
일본: 66점,
한국(남한): 32점으로 평가되었다.
댓글목록
유학생님의 댓글
유학생 작성일
민족통신 편집인님의 제언글 읽고서
주권지수(SI)와 종합주권지수(GSI)에 대한
조어와 그 지수평가포인트 관심많았어요.
주권지수에 관한 개념과 지수평가점수를
지구촌 나라들에게 적용하여서 제3세계
시민들에게 주권재민 의식을 높여주고
강대국들에게 주권을 파손파괴하는 행위를
금지시킬수 있도록 하는 계기되면 좋겠어요.
좋은 개념과 새로운 지수를 개발하여 주어
훗날 저의 연구논문으로 활용하고 싶어요.
감사드립니다.
버클리 캠퍼스
유학생 ㅇ ㅁ ㅅ
객관적인자님의 댓글
객관적인자 작성일그런데 세목항목등에서 북한은 고득점이고 남한은 저득점은 근거도 안 밝히는 이런 전허 타당서이 없어보는는 북한에서 박사학위받은신 로박사님... 근거로 제시 안하는 것은 학문적은 빵점이란 거 무르십니까? 박사님이시라면서요? 북한의 가족을 위해 이런 엉터리 연구하시는 같으신데 북한의 가족뿐만 아니라 민족 전체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만 제시안하시면 선동질이라밖에는 생각이 안되는군요!
주체자님의 댓글
주체자 작성일
식민지 노예나라 한국 32점 준거도 많이 준거지요.
하하하
가만 보아하니 반북반민족 냄새가 쿨쿨 나네요
객관적 자료가 얼마든지 있다고 나는 생각하오
군사주권도 없지, 경제주권도 없지, 비판도 국가보안법인지 뭔지하여 못하지, 툭하면 노동자 가두지,
아니 진보당을 좌빨 몰이 종북몰이고 몰고하며 욱박지르지,
대선부정한거 200% 명백해도 그냥 넘어갈라고 철면치한 나라,,,
친미사대주의/친일사대주의로 푹젖은 나라
그거 주권지수 0점 아닌기요?
자유인님의 댓글
자유인 작성일주권지수라는 말 자체가 탄생한것만해도 의의 있다. 주권지수를 세상에 알리어 이에 대한 연구과제로 제시하신 구상 자체에 의미부여 한다. 앞으로 심청연구대상으로 삼아 국제사회 2백여국가들에게 주권지수를 공표하여서 그 개별국가에 경종을 주면 좋겠다. 좋은 발상으로 생각된다.